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송하진 후보(현 도지사)는 ‘전북의 미래 먹거리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농생명산업’을 답했다.
송 지사는 농생명 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전북만이 가지고 있는 강점 및 특성을 살리고, 미래의 엄청난 부가가치를 갖고 있는 농업의 마지막 블루오션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민선 7기가 시작된 현재,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대표되는 농업과 이를 바탕으로 전개될 농생명산업 메카로의 농도(農道) 전북은 어떤 위치에 서 있고, 발전 방안 및 전망은 어떠한지를 두고 평가는 엇갈리는 모양새다.
지난 4년간의 민선 6기 전북도는 ‘농민·농업·농촌이 함께 즐거운 농정’을 슬로건으로 한 이른바 ‘삼락농정’ 정책을 펼쳐왔다.
삼락농정은 ‘보람 찾는 농민’, ‘제값 받는 농업’, ‘사람 찾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 삼락(三樂)과 농정(農政)을 함께 추진한다는 뜻이다.
도는 이 삼락농정에 따른 탄탄한 농업 기반을 통해 전북을 명실상부한 미래먹거리 농생명산업의 수도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삼락농정이 다소 현실과 거리가 있는 이상적인 정책이라는 평가를 내리는 한편, 지난 4년간 뚜렷한 실적을 내놓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하고 있다.
반면, 다른 한 쪽에서는 농생명산업 수도로서의 전북으로 가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 기반을 다진 시기였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한다.
양 쪽 모두의 결론은 ‘진화된 삼락농정’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관련 산업 기반 조성에 있는 것이다.
민선 7기 전북도는 지난 4년 동안의 정책에 이어 국가 전략산업으로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5대 농생명 클러스터(식품-익산, 종자, ICT 농기계-김제, 미생물-정읍, 첨단농업-새만금)조성을 기반으로, 세계 농식품시장 성장세 및 첨단 농생명산업의 경쟁 심화 등에 대응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국내 최대 농생명 R&D 역량(특구지정) 보유와 국가식품클러스터, 민간육종단지, 농진청 등 집적화 돼 있는 국가·공공기관 및 대학 등의 유기적 연계로 가치사슬의 완성도를 강화해 경쟁우위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혁신도시와 전북연구개발특구(광역단체 최초 지정)를 통해 농생명 R&D 허브를 육성하고, 5대 클러스터를 통한 농생명 산업을 견인하는 등 ‘혁신도시~새만금 연계형 미래농업 대표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같은 구상을 통해 글로벌 스마트 농생명산업 강국으로 진입, 수출지향형 첨단 농생명산업 밸리를 조성하고, 향후 10년 간 5만 명의 일자리 및 2조7000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고안이다.
도의 이런 계획의 성공을 위해서는 획기적 연구를 통한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이를 바탕으로 한 기업(벤처)유치가 뒤따라야 민선7기 전북도의 전략이 성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도 관계자는 “전북은 전통적 농도로서의 자부심과 함께 전국 어느 지역에 뒤지지 않는 집적화된 농생명 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며 “기업 유치를 통한 점이 만들어지고, 그 점이 선을 긋고, 그 선이 면을 이룰 때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것인 만큼, 미래 최고의 먹거리 산업 육성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