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길과 화단 조성, 가로수 심기, 담장에 그림그리기 등 마을환경 개선 사업이 마을마다 이뤄지고 있다. 정부의 관련 사업도 다양한데, '스마일 농촌운동', '함께 가꾸는 농촌운동', '깨끗한 농업·농촌 만들기 캠페인', '아름다운 농촌 만들기 캠페인' 등 이름도 자주 바뀐다. 농촌진흥청이 지난 4월 발표한 '2017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결과에서도 농어민들은 '자연환경·경관의 보전(36.7%)'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의 자연환경과 경관에 대한 주민들의 자긍심이 이처럼 대단하다 보니 마을환경 개선 사업은 앞으로도 쭉 이어질 것 같다.
그런데 정부의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 종류가 많다 보니 마을마다 무분별하게 사업을 유치하면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꽃길과 화단을 조성하고 담장에 그림그리기 등을 실시하면서 전국 대부분의 마을 앞길이 비슷해지고 있다. 벽화 역시 마을을 깔끔하게 단장해 시선을 끄는 효과가 있으나, 일회성 자금으로 인해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흉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벽화를 동화책에 나오는 캐릭터로 대부분을 채우면서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아 마을 정체성도 사라진다는 지적도 있다. 그럼에도 마을환경 개선 사업은 확대 되고 있다. 2015년 정부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은 6개 부처 14개 사업으로, 예산은 1조2,000억원이었다. 정보화마을, 희망마을, 농촌체험휴양마을,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자연생태우수마을, 산촌생태마을 등 종류도 진화한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05년 도입된 '경관보전직불제'가 주목받고 있다. 경관작물 재배와 경관보전활동을 통해 경관을 아름답게 만드는 농가에게 보조금을 주는 제도인데, 1ha당 경관작물 170만원, 준경관작물 100만원을 주고, 마을경관 보전활동비도 1ha당 15만원씩 지원된다. 그런데 '경관보전직불제' 지원 실적이 부진하다. 예산도 적고 절차도 복잡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앞선 농진청의 조사에서 농민들은 경관 유지와 보전 방안으로 '경관보전직불사업 활성화(34.3%)'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노력(25.2%)'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마을주민 스스로 환경 개선에 나서야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마을환경이 조성되고 또 보전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는 마을주민들의 인식 개선 교육과 함께 스스로 마을을 가꿀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옳다. 국민도 특색 있는 마을을 지나가길 희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