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14개 시·군 중 10개 지역은 저출산 및 고령화 등의 사회적 불균형 현상으로 인해 소멸의 위험에 처해 있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됐다.
문제는 청년유출과 인구 감소 등에 따른 지역 자체 존립의 위험치가 해마다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기존의 농촌 및 낙후지역에 국한됐던 현상이 최근에는 도시권역으로까지 확산되는 모양새를 보여 관계 당국의 인구정책 및 청년유출 방지, 출산률 향상 등의 정책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지역 평균 소멸위험지수는 지난달 말 현재 0.58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3년 0.72, 2014년 0.68, 2015년 0.65, 2016년 0.63, 지난해 0.60 등으로 해마다 낮아져 소멸위험 기준수치인 0.5에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소멸위험지수란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도내 20~39세 여성인구는 20만4000명이고, 65세 이상은 3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소멸위험지수는 1.5이상 ‘소멸위험 매우 낮음’, 1.0~1.5미만 ‘소멸위험 보통’, 0.5~1.0미만 ‘주의단계, 0.2~0.5미만 ’소멸위기지역-진입단계‘, 0.2미만 ’소멸위기지역-소멸고위험 지역‘으로 구분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임실군(지방소멸위험지수 0.225)과 무주군(0.231), 장수군(0.234), 진안군(0.236), 고창군(0.242), 부안군(0.259), 순창군(0.263), 김제시(0.284), 남원시(0.341), 정읍시(0.353) 등은 이미 지방소멸 위험지역군에 포함된 상태다.
전북지역 대표 도농지역으로 분류되는 완주군(0.509)은 연내에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나머지 전주시(0.988)와 군산시(0.678), 익산시(0.672) 등도 해마다 수치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특히 전주시는 지난해 7월 1.032에서 또다시 하락해 올해(6월말) 처음으로 0점대에 진입했다.
이로서 전북지역 14개 시·군 중 전주와 군산, 익산이 주의단계에 포함됐고, 연내 위험지역 진입이 예상되는 완주군을 제외한 나머지 10개 지역은 이미 소멸위기지역에 진입했다는 뜻이다.
이번 보고서를 발표한 이상호 연구위원은 “이 같은 상황은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가 가장 큰 문제고 이와 함께 2~30대 청년의 지역유출현상, 귀농귀촌에 따른 고령자의 인구 유입 등도 한 몫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