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진 전북지사가 대통령과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농업분야를 특화해 일자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농업분야를 일자리 창출로 방점을 찍은 것은 농촌진흥청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수산대학 등 농업관련 기관 41개가 전북에 집적화돼 있기 때문이다.
전북은 관련기관 뿐 아니라 식품, 종자, 미생물 등 농업인프라도 잘 갖춰져 전북의 강점을 활용이 용이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1호인 아시아농생명밸리는 전북 일자리와 연계돼 있다.
전북도가 농생명수도로 도약하겠다는 것도 이미 구축된 익산 식품클러스터, 김제 민간육종연구단지·ICT농기계클러스터, 정읍순창 미생물, 새만금 첨단농업 등 5대 농생명 클러스터를 농생명연구개발 인프라와 연계시키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미래농업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
여기에 기업 창업자를 위한 사회적기업혁신타운의 역학에도 기대가 모아진다. 전북도는 그동안 취약한 경제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1200여개의 사회적기업을 육성했고, 여기에서 1000명이 넘는 일자리가 생겼다.
전북도가 최근 농생명혁신밸리 유치와 사회적기업혁신타운 조성을 세밀하게 살펴보면 창업과 보육, 실습 등 교육에 있다. 당장 내년부터 농생명혁신밸리에서 교육받을 청년들을 선발하게되면서 농업은 전북 일자리 블루오션이 되고 있는 것이다.
청년 일자리와 중장년 일자리는 분명한 선이 있다. 우리가 유심히 살펴보고 있고 전북도가 중점적으로 하고 있는 일자리는 청년들이다.
청년들이 농생명을 일자리 하겠다는 프로그램 뿐 아니라 인식개선도 시급하다. 또 농생명이 빠른 시간 내에 자리 잡는 사업도 아니어서 전북도의 농생명 일자리정책에 부정적 요소가 될 수 있다.
농업이라는 특수성은 일자리를 조기에 만들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깨야 고향을 떠나는 청년을 잡을 수 있고, 전국에 있는 청년들을 전북으로 불러들일 수 있다.
송하진 지사가 도민에게 약속한 농생명 중심의 일자리는 결국 전북도와 도내 시군의 역할에 달려있다. 전북도와 도내 지자체는 전북의 미래가 달린 청년이 농생명과 신재생, 상용차 신산업에서 일할 수 있도록 속도를 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