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부담을 덜기 위해 운영 중인 치매안심센터가 임상심리사 또는 작업치료사를 두지 못한 채 간호 인력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보건복지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돌입한 가운데 정춘숙 의원이 치매안심센터 인력 현황 및 기준과 관련해 지적했다.

정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직역별 인력 미배치 치매안심센터 현황’(8월 말 기준)에 따르면, 전북 지역 14개 치매안심센터 중 임상심리사가 없는 터는 11개소, 작업치료사가 없는 센터는 5개소로 확인됐다. 이중 4개소는 임상심리사와 작업치료사 없이 센터장과, 사회복지사, 간호 인력으로만 운영 중에 있다. 반면 사회복지사와 임상심리사, 작업치료사, 간호 인력 등 모든 직역을 배치해 운영 중인 센터는 2개소에 불과했다.

도내 인력 현황은 14개 센터에 전체 147명이 근무, 이중 센터장 14명(9.5%), 간호사 72명(49%), 사회복지사 32명(21.8%), 임상심리사 3명(2%), 작업치료사 10명(6.8%), 기타 16명(10.9%)으로 확인됐다.

정 의원은 인력 쏠림 및 인력 부재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 보건복지부의 모호한 인력기준을 꼽았다.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직역별 주요 역할 및 업무범위 설명에서 간호사의 경우 ‘치매상담·등록, 선별·진단검사, 사례관리, 인식개선·홍보, 쉼터운영 등’을, 사회복지사 ‘치매상담·등록, 사례관리, 쉼터운영, 인식개선·홍보 등’, 임상심리사 ‘치매상담·등록, 선별·진단검사, 사례관리, 쉼터운영, 인식개선홍보 등’, 작업치료사 ‘치매상담·등록, 쉼터운영, 인식개선, 홍보 등’으로 구성돼 각 직역의 전문성이 반영되지 않았다.

보건복지부는 이에 대해 지자체 여건에 따라 직역 등을 정해 운영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기준만 제시하고 융통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치매안심센터 인력 지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정춘숙 의원은 “모호하고 허술한 인력지침으로 인해 치매안심센터를 찾은 국민들이 간호사, 사회복지사, 임상심리사, 작업치료사의 각 전문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각 센터에 직역별 인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해야 할 뿐 아니라, 치매안심센터 인력의 역할 기준을 명확히 규정해 각 직역이 각자의 전문성을 살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틀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