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회의서 ‘군산모델’ 자동차산업 살리기 추진 가능성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진다. 자동차업계의 주목을 끌며 ‘광주모델 일자리 만들기’로 추진해온 ‘광주자동차’ 창업이 끝내 강성 노조의 벽을 넘지 못해 불발 위기를 맞는데 따른 대안으로 거론됐다는 것이다.
  홍영표 원내대표가 국회서 가진 정책회의 뒤 광주모델이 난항에 부딪쳐 군산과 창원 등 ‘원하는 곳’으로 정부 지원을 돌려 추진할 수 있다고 했다 한다. 이날 정책회의는 12월 2일 국회 심의 마감을 앞둔 내년 국가예산안에 광주모델 정부 지원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모델 일자리 만들기는 광주시가 주체가 되어 전남도와 광주전남 기업들이 약 1조원 규모 자본금을 모아 광주시 빛그린산업단지 내 66만㎡ 부지에 새로 완성차 공장을 지어 약 1만 명의 일자리를 만든다. 10%만 투자하는 현대자동차에 공장 및 차량 설계 등 기술과 생산 및 판매를 위탁한다.
  광주시가 주인이 되고 공장 건설 및 생산 판매 등 운영은 차 산업 전문의 현대가 맡는 방식이다. 광주모델 창업 성공의 핵심은 ‘근로자 연봉 4000만원, 주당 40시간 근로’에 있다. 자동차산업계가 주목하는 게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자동차 근로자 평균 연봉 9천213만원은 미국 일본 독일 경쟁사들보다 높다. 그런데도 생산성은 떨어진다. 한국자동차산업이 망하는 길을 걸을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 광주시가 이의 혁신적 극복을 통한 자동차산업 부활과 대규모 일자리 창출에 나선 것이다. 차산업계는 물론 정부와 민주당이 주목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본란은 그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도와 군산시에 광주의 도전에 주목할 것을 주문해왔다. 군산은 광주보다 여건이 월등히 유리하다. 문 닫은 GM의 연산 22만대 규모 완성차 공장 첨단시설이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고 실직한 숙련근로자들이 거리서 헤매고 있다.
  군산지역 12개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도전에 나서기도 했다.  도와 군산시가 광주 수준의 도전 의지와 자구 노력만 있다면 ‘군산모델’의 차 산업 살리기를 통한 대규모 일자리 창출은 ‘땅 집고 헤엄치기’가 될 수도 있다고 믿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