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7일 전 주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다행히 저병원성 AI(H7N7형)인 것으로 최종 판정됐다. 해당 지역에 설정했던 방역대는 해제했지만 전북도는 AI발생 위험이 상존하는 만큼 가축방역상황실을 24시간 연락체계로 운영하고 철새도래지 주변 매일 소독, 오리농가 사육제한 실시관리에 나설 방침임을 밝혔다. 겨울철새가 도래하고 야생조류에서도 계속해서 AI 항원이 검출 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 하반기 들어 전북지역에서만 벌써 7번째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고원성 AI의 발병 우려가 커진 만큼 초기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 됐음은 물론이다. 특히 올해는 중국과 러시아에서만 90여건의 고병원성 AI가 발생했고 전북을 비롯한 국내에서의 발생속도 역시 과거에 비해 훨씬 빠르다.
고병원성 AI 발생은 축산농가는 물론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살 처분으로 인한 가축매몰이 가져오는 환경오염은 상존하는 잠재적 과제이기도 하다. 12월과 1월에 발생하는 AI가 한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만큼 지금 이시점이 가장 위험한 시기란 점에서 절대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 된다.
방역당국이 매년 AI가 발생하고 또 막대한 피해가 되풀이 될 때 마다 철저한 방역과 확산방지 대책을 내놓고 재발 억제를 강조했지만 겨울이 될 때 마다 이는 예외 없이 공염불이 되고 말았던 게 사실이다. 철새가 날아다니면서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만큼 완벽한 차단이 불가능한 것을 모르는바 아니지만 확산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나 노력이 미흡했음을 시인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정된 인력으로 효율적인 방역이나 차단 노력에 한계가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작지 않다.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탁상행정으로 인한 엇박자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사전예방과 만일의 발생사태에 대비한 철저한 준비에 기초한 강력한 초동대처의 중요성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축산 농가들 스스로의 방역의식과 피해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자세 역시 중요함은 두말 할 나위 없다. 관계기관의 빈틈없는 방역, 축산농가 스스로의 강한 책임감, 그리고 바이러스 전파의 매개체가 될 수도 있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만 발생을 최소화 시키고 피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되새겨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