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침체를 막기 위해선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위기대응 능력 강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80개 관련기관이 공동주최한 ‘2019년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Ⅱ’에서 산업연구원 김윤수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지역경제 침체가 주력제조업의 위기에 따라 찾아온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선이나 석유화학, 자동차 등 대형제조업을 지역경제 주력으로 의지하는데 따른 위험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지역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것으로 전북은 자동차부품, 농생명, 신재생에너지, 탄소복합소재, 지능형기계의 연계성 등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아울러 강조했다.
대형제조업에 대한 지역경제의존도를 줄이고 지역산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는 지적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그럼에도 위기에 대비한 결정과 실천은 없었고 결국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고 GM군산공장이 철수하며 지역경제는 끝없는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정부의 오랜 산업화정책 소외지역으로 전락하며 기초 경제체력조차 허약했던 전북이었다. 당장의 대형제조업유치를 통한 경제 살리기가 급선무였기에 미래를 대비할 여유가 없었음은 물론이다. 지역경제에 숨통이 트일 만 하니 닥친 세계적인 경제위기 한파가 전북 군산에 까지 미치면서 기업들의 철저한 이윤 논리 앞에 상생을 내세운 방어는 역부족 이었을 수밖에 없었음이 오히려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여질 만큼 전북경제는 모든 면에서 취약했던 것이다.
비록 한참 늦었지만 경제계와 학계에서 진단하는 이 같은 전북경제 미래 산업 육성에 대해 전북도 역시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의 정부정책연계, 관련기업유치를 위해서도 나름의 노력을 진행 중에 있기도 하다. 최근 정부의 공정한 경제생태계조성을 위한 노력역시 기대를 갖게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걱정이 앞서는 건 급변하는 산업트랜드에 맞춘 신산업육성의 필요성을 다른 지자체들 모두 똑같이 공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혁신 산업생태계조성에 모두가 뛰어들면서 또다시 태생적인 경제조건 자체가 취약한 전북이 경쟁에서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가 낙후지역에 대한 양적, 질적인 배려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혁신적포용국가와 균형발전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하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