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8월 31일까지 활동하게 될 이번 정개특위는 각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정개특위서 20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틀과 룰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정개특위 활동 중에서도 특히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이 가장 주목받게 될 것이다. 선거구 획정은 우선 당해 지역구 국회의원의 정치적 운명을 결정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선거구 수가 지역 국회의원 수를 결정하게 되어 당해 지역의 정치력 규모를 판가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번 정개특위 활동에 대해 전북이 활동 초기부터 특별한 관심을 갖고 이를 주목해마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전북 지역구 획정의 객관적 상황에 몇 가지 불리한 여건이 겹쳐진 데 따른 것이다.
특위 활동에 각별한 주목과 사전 대처가 없이 무사안일로 방심하다가는 자칫 선거구가 축소되어 그렇지 않아도 취약한 전북 정치력 규모가 위축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번 헌법재판소 결정이 전북에는 악재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다. 헌재는 선거구 인구 편차를 현행 3대 1에서 2대 1로 줄여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로 인해 전국 246개 선거구 중 4분의 1인 62곳이 선거구 조정대상이다. 전북은 11개 선거구 중 절반 가까운 5개 선거구가 조정 대상이 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충청권의 선거구 증설 압박이 호남권 선거구 축소를 불러올 위험성이 높은 것도 또 다른 악재가 아닐 수 없다. 충청권은 인구 증가가 계속된 데 반해 호남권은 인구 감소가 이어져 마침내 역전된 게 현실이다.
총선의 해 2016년에 충청권 인구가 호남권보다 30여만 명 이상 많게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충청권 선거구가 25석인데 비해 호남권은 30석(전북 11 광주전남 19)이다. 과연 현행선거구 유지가 가능해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선거구가 반드시 인구수만으로 획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가지 정치적 변수가 작용되기 마련이다. 국회의원 선거구 지키기는 국회의원들의 정치적 운명뿐 아니라 전북 정치권의 명운을 좌우한다. 정개특위 활동과 함께 전북 정치권의 선거구 지키기 전력투구가 요구되지 않을 수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