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일자리 질이 전국에서 가장 나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전국 25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5년 기준 고소득, 고학력, 고숙련자의 비중을 분석해 종합지수로 환산, 발표한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일자리 지수는 마이너스(-)1.091이었다. 1 이상이면 일자리 질 상위지역, 0~1은 중상위 지역, -1~0은 중하위지역, -1 미만은 하위지역으로 구분된다.
전북은 지난 2010년 -0.967이었던 것과 비교 일자리 질 지수가 더 악화된 것으로 5년 전에 이어 이번 조사에서도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에서 3번째인 전국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일자리 질이 가장 높은 곳은 종합지수 1.928을 기록한 서울시에 이어 대전시 1.482, 세종시 0.965, 광주시 0.808, 경기도 0.798 등의 순으로 나타나 좋은 일자리는 여전히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 있음이 재차 확인됐다.
특히 전북은 고소득 비중이 18.2%에 불과하고 고학력 32.5% 고숙련 14.3%로 역시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저수준 이었다. 젊은 청년들을 중심으로 전북인구가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는 현재 상황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타지로 옮겨가는데 따른 것임이 재차 확인된 것이다.
여기에 도내에서도 전주시 덕진구와 완산구, 군산시 익산시, 완주군을 제외한 나머지 기초단체 모두의 일자리 질이 하위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좋은 일자리 만들기에 정책의 성패 여부가 결국 지자체의 미래를 결정지을 수도 있단 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군산의 고소득자 비중이 25.4%였지만 진안은 8.9%였다. 고학력은 전주 덕진구가 50.7%였고 진안이나 고창은 14%대였다. 고 숙련자 비중 역시 전주완산이 27.5%였던데 반해 임실은 5.2%을 넘지 못했다. 경제적 불평등이 광역자치단체에 이어 기초자치단체로 까지 확산되면서 또 다른 불평등에 대한 사회문제 까지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미 현실이 된 인구절벽에 따른 지역사회 소멸론은 거주인구의 감소로 부터시작 된다. 그리고 양질의 일자리 감소가 심각해지는 전북이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다. 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위한 정부차원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에서부터 지역 중소기업들의 생산성향상을 위한 지자체 정책지원 확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하는 이유다. 일자리는 찾아서 떠나면 되지만 사람 없는 지자체는 망하게 됨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