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혁신도시를 지역의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2월부터 추진한 ‘혁신도시 시즌2-기업입주 활성화 방안’이 전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국의 대도시 인근 혁신도시들은 정부의 기업유치 활성화 방안에 시너지 효과를 받고 있지만 R&D 관련 국가기관 이전 위주로 구성된 전북 혁신도시는 기업(유치)과의 연관성이 적어 여전히 제자리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전국 10개 혁신도시 클러스터 분양 및 입주현황’ 발표를 통해 전국적으로 1분기에만 135개 사가 신규 입주하는 등 정부의 ‘혁신도시 시즌2’(지난해 2월) 및 ‘기업입주 활성화 방안’(지난해 8월) 이후 기업 입주가 꾸준한 증가세에 있다고 밝혔다.
실제 혁신도시별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경남 48개소(누적 218), 광주·전남 32개소(205), 부산 22개소(139), 대구 20개소(130) 등 대도시 인근 혁신도시에 상대적으로 많은 기업 입주가 이뤄졌다.
이밖에 충북 9개소(33), 강원 4개소(44), 경북 3개소(26) 등도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북 혁신도시는 올 1/4분기에는 한 곳의 기업도 입주하지 않았고, 현재 누적 입주기업은 2개사(엘지산전, 에코스이엔지)에 불과한 상황이다.
정부의 활성화 방안 효과가 전북 혁신도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예상은 정책 추진 당시부터 제기돼 왔다.
우선 전북 혁신도시의 경우 분양가가 인근 완주군 부지 등 보다 비싸 입주를 고려하는 기업이 굳이 혁신도시를 택할 이유가 없다는 점이다.
또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2개 중 7개 기관이 농촌진흥청 등 대부분 농생명 R&D 국가기관으로 신기술을 개발했다 해도 기술 전수를 특정기업에게 한정할 수 없고,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전기안전공사, 국민연금공단은 각 지역지사의 비중이 높아 본부 이전 규모도 작다는 것이다.
결국, 전북 혁신도시를 사실상 이끌고 있는 이전 공공기관의 구성과 추진 업무성격이 기업 유치와는 거리가 있는 동시에 기업이 본부(한국국토정보공사 등 3개) 인근으로 이전해 사업을 추진해야하는 것도 아니어서 기업과의 연관성이 적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기업유치 어려움을 감안해 전북도는 이전 공공기관 주도의 클러스터 부지 매입을 유도, 클러스터 8(부지)은 한국국토정보공사, 4는 한국식품연구원에서 추가 매입해 연계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아울러 9, 10 부지는 도에서 직접 토지를 매입해 금융중심지 지정 등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전북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 분양율은 66.5%로 전국 평균(63.0%)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도 관계자는 “현재는 클러스터 3 부지만 분할해 기업유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기업 수요에 맞게 분양 토지의 탄력적인 분할·합병을 허용하고, 일부 미착공 클러스터 용지는 공공매입 후 장기저리 임대방식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북개발공사의 클러스터 분양가 추가 인하를 검토하는 동시에 입주기업에 대해서는 3년간 사무실 임차료·분양대금 이자의 최대 80%까지 (매월)지원하는 등 유인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