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없는 이유를 들어 경제보복을 시작한 일본에 대한 국민적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의 미묘한 입장차이는 있지만 일본경제 보복을 규탄하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자유무역을 통해 오늘의 부를 이룩한 일본이 정작 이에 정면으로 반하는 한국에 대한 무역제재 조치를 취한데 대해 세계무역질서를 흔들고 기만한 것에 다름 아니란 국제적인 비난 역시 확산 일로다.
특히 일본산 제품에 대한 민간차원의 강력한 불매 운동 확산은 지금 국민들이 일본에 느끼는 감정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단 점에서 주목된다.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판매되는 일본산 제품 거부 확산 여론은 동네마트들의 일본제품 판매 중지에 이어 의류·자동차등 일본계기업 전제품으로 까지 확산됐다. 24일엔 택배·마트 노조까지 일본 브랜드인 '유니클로' 제품 배송 거부와 매장내 일본제품 안내 거부를 선언하며 동참에 나섰다. 
더욱이 지난 22일 일본 주요 경제단체 중 한 곳인 '경제동우회'의 사쿠라다 겐고 대표간사가 일본 상품 불매 운동에 대해 "좋은 물건은 사고 싶어지는 것이 당연하다"며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한 발언이 알려지면서 국민들의 반일 감정은 극에 달하고 있다. 사태의 심각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무지에서 나온 것이라 해도 그냥 넘기기 힘들 만큼 참으로 고약한 발언이 아닐수 없다.    
4주째 이어지는 불매운동은 국민 절반 이상이 참하고 있다는 설문조사가 나올 만큼 확산일로다. 일본관광취소에 이어 일본 영화까지 보지 않겠다는 국민이 늘고 있다. 일본 제품을 사지도 않고 팔지도 않는 것은 물론 여행이나 영화 등 문화콘텐츠로까지 불매가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에도 일본과 마찰이 있을 때 마다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있었다. 하지만 논란이 있지만 이번에는 인터넷과 SNS를 통해 불매운동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고 이러한 순수한 민간차원의 항의노력이 국민 절반을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전쟁은 강자의 논리가 승리하게끔 돼있다. 솔직히 우리가 불리하다. 외교적 해결이 최선임을 모르는바 아니지만 뭐라도 해야 한다는 국민의 자발적 행동은 그런 의미에서 큰 의미를 준다. 정부에 하나 된 국민 마음을 전하는 수단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과 국가를 위한 최선의 선택을 정부에 일임했다.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길이 무엇인지 정부가 깊이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