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이 10년 뒤면 폭염의 위험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1일 환경부가 2021년~2030년 폭염 위험도를 공개한 가운데 10년 뒤 전북 지역은 기준년도인 2001년~2010년 보다 폭염 위험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기준년도 기준 전북 지역은 전체 5개 등급 중 ‘매우 높음’에 김제시·고창군·부안군, ‘높음’에 남원시·익산시·정읍시·순창군·임실군으로 분류됐다.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 RCP 4.5에 따라 폭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매우 높음’에 정읍시·순창군이, ‘높음’에 군산시·전주시·완주군·장수군·진안군이 각각 상향 조정됐다.

또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 RCP 8.5를 반영하는 경우 ‘매우 높음’에 남원시·익산시·전주시·임실군·순창군이, ‘높음’에 군산시·무주군·완주군·장수군·진안군이 각각 상향됐다.

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일최고기온 등 위해성 증가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 및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 증가 ▲도시화면적 비율 등 취약성 증가에 따른 결과다.

올해 처음으로 발표된 폭염 위험도는 폭염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고,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자체의 중장기적 기후변화 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진행됐다.

기록적인 폭염을 기록한 지난해 폭염에 따른 인명, 대기·수질, 산업, 사회기반시설 및 건물 등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전국적으로 온열질환자가 모두 4526명 발생해 그중 48명이 숨졌다. 이는 2011년~2017년 평균(온열질환자 1132명·사망 11명) 대비 4배 이상 높다. 또 오존 및 조류 경보가 평년보다 높게 발령됐으며, 녹조 과잉발생 현상 역시 두드러졌다.

작물의 고사·품질저하·병충해 등 농작물 피해 2만2509ha, 가축 907만8000여마리 폐사, 어폐류 604억원 상당 경제적 손실 등 재산 피해도 이뤄졌다.

이밖에도 도로솟음 현상에 따른 차량 파손 및 도로혼잡 8차례, 레일변형에 따른 탈선사고 1건 및 열차 운행장애 135차례, 전력 소비량 급증에 따른 7월 한 달 아파트 정전 91건(2017년 동기대비 112% 증가) 등 피해도 집계됐다.

환경부는 일상화되고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7월 10일 ‘폭염대응지원단’을 발족, 지자체의 폭염대응력 제고 및 민감 계층의 단기적 지원을 추진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배연진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자체별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홍보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