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년 후 전북거주 인구 10명중 4명은 60세 이상 노인이 될 것이란 보고서가 나왔다. 전북인구 역시 지금의 180만 명이 붕괴된 170만 명 수준을 겨우 유지할 전망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최근 내놓은 ‘전북지역 인구구조 및 노동공급의 변화 추이와 향후 전망’에 따르면 인구를 바탕으로 한 전북 성장 동력은 ‘암울’로 요약될 만큼 심각하다. 초고령화와 급격한 인구감소, 이로 인한 지역경제성장동력 상실에 대한 우려와 문제점은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왔지만 그 시기도 빨라지고 위축규모도 커질 거란 예상 때문이다.
인구 200만 명이 붕괴된 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줄어 지난 2000년 192만 명 수준으로 까지 떨어지자 지역에선 심각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고 강력한 대책마련 필요성에 대한 요구도 거셌다. 하지만 그럼에도 전북은 그 후 단 한 번도 인구증가를 경험해 보지 못한 체 18년이 지난 지난해 말 기준 181만 명을 겨우 턱걸이 하고 있다. 연평균 0.3%/씩 인구가 감소, 이런 속도라면 2030년엔 171만 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한은 전북본부는 예측했다. 같은 기간 전국 인구가 0.6% 늘어나는 것과 정반대의 비관적 인구구조 변화가 전북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특히 젊은 경제활동 인구의 탈 전북에 이은 초저출산 사회분위기로 인한 인구감소는 결국 노인인구 비중 증가로 이어지며 2030년 전북의 60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전남 41.1%, 강원 40.2%, 경북 40.1%에 이은 38.8%에 달할 전망이다. 실제 지난해 유소년 100명당 고령인구를 나타내는 노령화 지수가 가장 큰 시도는 171.5명인 전남이었고 이어서 경북 155.1명, 강원 149.3명, 그리고 전북 147.7명의 순이었던 것에서도 가능성은 충분히 유추해 볼 수 있다.
문제는 급격한 고령화와 인구 감소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맞이하게 될 심각한 위기다.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 인프라나 복지시스템은 너무도 많은 구멍이 뚫려 있다. 한 달이 멀다 않고 고독사에 병사에 생활고로 인한 자살 소식들은 우리 복지정책이 갈 길이 멀음을 확인케 한다.
일본은 지난 2015년 저 출산·고령화를 전담하는 ‘1억 총활약 담당상’ 장관직 까지 신설해 대처하고 있다. 한국보다 앞선 고령화 국가라곤 하지만 지금도 늦었다는 말이 나올 만큼 우리의 위기 역시 코앞이다. 고령화대책,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