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워킹맘을 위한 일자리는 많지만 대부분이 단순노동직에 국한된 제한된 일자리가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불안하지만 일자리는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언제든 해고될 수 있다는 심적 부담이 큰 불안정 고용에 대한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통계청이 지난 6일 내놓은 ‘2019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자녀별 여성의 고용지표’에 따른 것으로 자녀와 동거하는 전북여성 15만8000명중 취업여성은 10만1000명으로 64.2%의 고용률을 기록했다. 이는 제주도 67.8%에 이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지난해 고용률 58.6%보다 5.6%포인트가 늘어나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전북도차원의 직접지원 정책 확대에 이어 직업알선 종사자들을 위해 전국최초로 활동경비를 지원하는 등의 적극적인 노력이 성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심각해지는 경제난에 재취업을 통해 가정 경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워킹맘들 지원정책 강화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 8일 발표한 전국의 워킹맘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2019 한국 워킹맘 보고서’는 일과 양육에 대한 고민과 바람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출산과 자녀 교육을 위해 퇴사를 고민했다는 응답자가 전체 95%에 달했지만 역시 응답자 95.9%는 계속해서 일을 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현실은 지난 2018년 기준 우리나라 35~39세, 40~44세 여성 고용률은 각각 59.2%, 62.2%였다.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으로 인구 5000만명이상인 국가 30-50클럽 7개국 가운데 최하위라 한다. 그나마 워킹맘들에게 주어지는 일자리는 시간이나 기간제, 단순노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북 워킹맘 중 공공서비스업이나 도소매, 숙박음식점 등에만 전체의 75.2%가 몰려 있고 월 급여 200만원 이하가 43.3%에 달하는 것에서도 이는 확인된다.
워킹맘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개선되고 정부나 지자체의 고용확대 지원이 확산되는건 사실이지만 질적 수준 개선으로 까지는 갈 길이 멀다. 아직도 문제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고 있음이다. 환경개선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 우수한 능력과 충분한 사회적 활동의 필요성을 갖고 있음에도 워킹맘이란 이유로 노동력을 단절시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