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을 떠난 사람의 수가 1만 3천여 명에 이르면서 인구 유출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특히, 호남권 타지역에 비해 2~30대 청년층의 유출이 심각한 상황이어서 지역의 성장 동력인 청년층을 붙잡을 수 있는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 지역통계과가 16일 발표한 '2019년 호남·제주 국내인구이동 현환 및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으로 전입한 인구는 22만 9천 명인데 반해 전출한 인구는 24만 2천 명으로 전북을 떠난 사람이 들어온 사람보다 1만 3천 명이나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호남에서 가장 큰 폭의 순유출(-0.7%)로 뒤를 이은 전남(-0.5%)과 광주(-0.3%)광역시와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 전입·전출률을 살펴보면 모든 지역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상황인데 전북 역시 남자의 전출률(13.6%)이 여자의 전출률(13.0%)보다 0.6%p 높았다.

연령별 순이동자 수를 살펴봐도 모든 지역에서 10대와 20대가 순유출 됐으며, 제주만 30대에서 1천 명대의 순유입을 보였다.

하지만, 전북은 10대~30대 모두에서 인구가 유출된 흐름을 보였는데, 특히 지역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어 줄 20대와 30대의 순유출률이 각각 -4.5%와 -1.1%로 조사대상인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인구는 도리어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을 떠난 이들이 가장 많이 찾는 지역은 경기도로 24.8%의 비율을 보였으며 이들이 전북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직업'을 꼽았다. 이는 청년층의 순유출이 두드러지는 전북에서 취업과 결혼을 장담할 수 없어 상대적으로 기회가 많은 수도권으로 쏠림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청년층 이탈을 막거나 최소한 유출 속도를 더디게 하기 위해선 기업 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발굴 등을 통해 안정적인 삶의 바탕을 만들어주는 일에 지자체가 실질적인 대안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다.

한편, 지난해 전북에서 가장 전입이 많았던 지역은 전주시로 전입률이 15.32%로 나타났으며, 가장 전출이 많았던 지역은 임실군으로 전출률이 16.02%에 달했다. /홍민희기자·minihong250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