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인구 유출이 이제 고착화되는 분위기다. 작년 전북을 떠난 사람의 수가 1만3천여 명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한 개의 읍지역 전체 인구에 해당하는 셈이다.
호남지방통계청는 최근 ‘2019년 호남·제주 국내인구이동 현황 및 분석’을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작년 전북으로 전입한 인구는 22만9천명인데 반해 전출한 인구는 24만2천명으로 집계했다. 전북을 떠난 사람이 들어온 사람보다 1만3천 명이나 더 많은 것이다.
이같은 유출현상은 지난 2011년 이후 계속되어지는 현상이다. 올해면 심리적 마지노선인 180만명의 벽도 무너질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전북 총인구는 180만3천명으로 전국 대비 3.5% 수준에 불과하고, 2047년이면 158만3천명으로 뚝 떨어질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문제는 인구 감소만이 아니라 감소되는 인구의 질이다. 전북은 10대~30대 모두에서 인구가 유출된 흐름을 보였는데, 특히 지역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어 줄 20대와 30대의 순유출률이 각각 -4.5%와 -1.1%로 심각성을 나타냈다. 지역 내 젊은 인구가 사라지고 있다는 이야기다.
청년층의 인구유출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를 불러와 자칫 전북의 미래성장동력 고갈로 이어질 우려마저 낳고 있다.
가뜩이나 출산율이 감소하고,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되풀이되고 있는 ‘인구 절벽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지자체를 비롯한 모두가 나서야 할 때이다.
인구감소는 무엇보다 전북의 도시잠재력이 줄어들었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사람이 모이지 않는 도시, 젊은 층이 떠나는 도시는 미래가 없다.
젊은층을 전북에 머물게 하는 정책과 청년층의 타 시도 유출을 막기 위한 여성 일자리 창출이 무엇보다 시급하지만 대책은 하세월이다. 각 지자체에서 내놓은 인구정책도 백약이 무효인 형편이다.
떠나는 인구를 잡고, 돌아오는 도시로 만들고, 매력이 넘치는 지역을 만드는 실질적인 정책을 하루 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인구를 늘리는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는다. 당장 시급한 사안이 무엇이며 시민들이 실제로 무엇을 원하는지를 제대로 짚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의 인구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인구 유출이 고착화되는 일을 방관하고 있으면 미래가 없다. “타 지역도 마찬가지”라며 방치해선 안되는 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