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근 전 도의원

코로나 19에 대응하면서 전염병 관리의 전문성을 보강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가 독립적인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된다고 한다, 그 과정에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이하 인수공 연구소)의 소속 및 기능전환에 대해 시민과 관련 전문가의 참여가 배제된 체, 인수공 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충분한 검토없이 정치적 판단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   

지금은 원 헬스(One Health) 시대라고 한다. 원 헬스란 사람과 동물, 환경이 함께 공존하며 건강을 추구하는 다양한 학문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 원 헬스의 세 영역에서 최적의 건강 상태를 모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학문 간의 경계를 포괄하는 주체인 인수공통전염병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을 해결하기 위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구상에서 인간을 위협하는 전체 전염병 중 동물이 숙주가 되어 사람에게 옮겨지는 전염병이 70-80%를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 19도 박쥐와 천산갑이 숙주라는 것이 세계적인 전문가들의 의견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우리가 심각하게 경험했던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에볼라, 참진드기가 매개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은 대표적인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이렇듯 사람에게 치명적인 질병은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지구상에서 퇴출된 것이 없다.

전북대학교 부설 인수공 연구소는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전염병을 연구하는 국내 유일의 연구기관이다. 익산시에 있는 이 연구소는 2007년 전북대와 익산대의 통합에 따른 시민과의 약속을 통해 세워졌고, 더욱이 축산업 비중이 큰 농도 전북에서 인수공통전염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연구와 전국적인 허브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 인수공 연구소가 위기라고 한다.

정부가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국가적 대응 방안으로 질병관리청 신설과 함께 국립감염병연구소 설립을 발표하자 정치권에 의해 엉뚱하게도 교과부에 속해 있는 전북대학교 부설 인수공 연구소를 질병관리청 소속 분원으로 편입시키자는 움직임이 있다고 한다.

소위 동물과 사람을 오가는 인수공통전염병을 연구하는 기능의 연구소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감염병 연구가 목적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또한 인수공 연구소와 감염병연구소는 각 각의 기능과 역할이 있는 것이며, 상호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또한 인수공 연구소의 기능과 역할이 상실된다면 익산시가 현재 야심 차게 계획하고 있는 ‘동물의약품효능안전성평가센터’ 건립 계획도 결국 무산될 수 있다.

익산시는 인수공 연구소 뒤편 부지에 250억 원(국비, 지방비)을 투입해 동물의약품 전문 GLP(비임상시험관리기준) 시험기관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획은 이미 지난 5월, 농식품부의 관심 속에 인수공 연구소에서 농식품부와 익산시, 전북대 관계자들이 만나 설명회까지 마친 상태이다.

이 사업이 추진된다면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와 연계된 제약회사나 약품회사는 각종 시험을 위해 익산시에 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곳은 모든 약품의 전문시험기관이기도 하지만 안전성을 평가하는 센터이기 때문이다. 이 센터가 건립된다면 관련 분야의 생명과학 발전을 유도하며 동물용 의약품 사업의 연구개발 능력을 배양시키고 감염병 대응을 위한 핵심 연구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익산시에 양질의 일자리도 자연적으로 늘어나는 현상도 이어질 것이다.

그동안 묵묵하게 일해 왔던 인수공 연구소가 익산시민에게 큰 효자 노릇을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고 계획이다. 그러나 인수공 연구소의 정체성이 상실되고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으로 들어가 연구 방향이 바뀌게 되거나 혹여 다른 연구에 끼여 넣기식 연구가 된다면 생명과학 도시를 지향하는 익산시의 큰 그림은 물거품이 될

그렇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 같은 일이 익산시만의 문제는 아니라 하더라도 인수공 연구소는 전북대 익산대 통합과 더불어 시민적 합의에 따라 건립된 연구소라는 기본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최소한 이해 당사자인 시민과 농축산인 그리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은 후 그다음 정치가 나서도 늦지 않을 일이다. 그것이 기본 절차이다. 이제라도 시민의 삶의 질 그리고 도시의 정체성과 연관되는 정책에는 시민적 동의와 지지가 있어야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근본 진리가 정치권에 전해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