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인구수가 2017년 183만명에서 2117년 약 74% 줄어든 48만명으로 대폭 감소할 것이란 충격적 분석이 나왔다.
국내 인구도 2017년 5136만 명에서 2117년 1510만으로 급감할 전망이다. 
19일 감사원의 ‘저출산·고령화 대책 성과분석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실태’ 감사 결과, 지금처럼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계속되면 지방 인구는 갈수록 줄어 비수도권의 소멸위험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인됐다. 
30년도 채 남지 않은 2047년 전북 154만명 등 13개 광역시·도에서 2017년 대비 총 500만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감사원이 통계청에 의뢰해 100년 후인 2117년의 인구를 추계한 결과로 통계청은 2067년까지는 장래 인구추계를 했으나 100년 후 추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해마다 인구가 크게 늘고 있는 경기도의 경우 2017년 1279만명에서 2067년엔 1065만명, 2117년엔 441만명으로 지금의 3분의 1토막이 된다.
전북과 경기도 이외에 다른 시도의 100년 후 인구는 강원도(2017년 152만명)가 48만명, 충청북도(161만명)는 53만명, 전라남도(180만명)는 49만명, 경상북도(268만명)는 70만명, 경상남도(334만명)는 85만명, 제주도(63만명)는 27만명, 인천(292만명)은 95만명, 대전(153만명)은 41만명, 울산(116만명)은 26만명으로 인구가 급감한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2017년 5136만명에서 2067년엔 3689만명으로 감소하며, 100년 뒤인 2117년에는 1510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 고령화 속도도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어 100년 후 전북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7.9%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4번째로 높을 것으로 추정돼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시도별 고령인구 비중은 2047년엔 세종을 제외한 16개 광역시·도에서 30%를 넘고, 2067년엔 17개 광역시·도 모두에서 40%를 초과하며, 2117년엔 울산(48.9%)과 세종(49.7%)을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5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전남(60.7%), 강원(59.9%), 경북(58.3%), 전북(57.9%), 충남(56%), 충북(55.6%)은 고령인구 비중이 절반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인구는 2017년엔 총인구의 13.8%였으나 30년 후엔 39.4%, 50년 후엔 49.5%, 100년 뒤엔 52.8%로 높아진다.
감사원은 권고 사항에서 장기간에 걸친 낮은 수준의 합계 출산율과 청년층의 지속적인 수도권 이동으로 인해 전체 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인구구조의 고령화, 지방의 소멸 가능성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초저출산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청년층이 양질의 교육 기회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고, 수도권 청년들은 과도한 경쟁과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비혼·만혼을 선택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감사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역 인구 불균형 문제에 대해 저출산 관점에서 범정부 차원의 긴밀한 협력으로 심도 있는 종합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윤홍식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