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작가 최기우가 네 번째 희곡집 '달릉개(평민사)'를 펴냈다. 

희곡집에는 판과 소리의 참의미를 묻는 '달릉개(2016)'와 동학농민혁명의 아쉬움을 풀어낸 '녹두장군 한양 압송차(次)(2013)', 춘향전과 흥부전의 이야기 틈새를 채우고 비켜 보며 다시 엮은 '아매도 내 사랑아(2016)'와 '월매를 사랑한 놀부(2017)', '시르렁 실겅 당기여라 톱질이야(2020)' 등 다섯편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대부분 전주와 남원에서 상설공연된 작품이며, '녹두장군 한양 압송 차(次)'의 경우 전주한옥마을 주말상설공연으로 고전에서 착안한 세 작품을 남원시립국악단이 제작해 야간상설공연으로 시민과 관광객에게 흥겨운 낮과 밤을 선사했다. 

최기우 작가는 "작품을 쓰는 작가가 즐거워야 작품을 보여주는 배우와 스태프들도 흐뭇하고 작품을 보는 관객도 행복하다"는 지론을 네번째 희곡집에 담아냈다. 

표제작인 '달릉개'는 소리를 포기하고 부채장수가 된 청년 달릉개가 전주에서 떠돌이 명창과 서예가, 남문시장 상인들 등을 만난 뒤 남녀노소 함께 어울려 노는 판의 의미와 소리의 가치를 깨닫고 진정한 소리꾼이 되는 내용이다. 

1398년 전주에 효자비(전주시 향토문화유산 제5호)가 세워진 박진, 한벽루와 근처 바위에 설화와 글씨(암각서·巖刻書)를 남긴 창암 이삼만(1770∼1847), 전주대사습에서 귀명창들에게 조롱당한 뒤 독공으로 명창이 된 정창업(1847∼1919) 등을 주요 이야깃거리로 삼았다. 특히 귀명창·남문시장·막걸리·부채·열무김치·음식·전주천 등 전주의 다양한 콘텐츠를 걸판지게 담겨있어 흥미롭다. 

'녹두장군 한양 압송차(次)'는 'IF(만약 ~한다면)' 가미된 이야기다. 

전봉준 장군이 한양으로 압송될 때 전라감영이 있는 전주에 들렀고, 이곳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다는 가정으로 써내려간 작품이다. 

정이 넘치는 전주 사람들은 분명 전봉준에게 정성스러운 밥 한끼를 대접하려고 했을 것이며, 농민군들은 전주에서 그의 구출 작전을 벌였을 것이다. 

또 전봉준은 압송행렬을 보기 위해 찾아온 열혈청년 김구가 일본군에게 잡히자 자기 대신 조선의 청년 김구를 구하라는 마지막 명령을 내린다. 

이는 당시 백범이 황해도에서 '애기접주'로 불리며 큰 활약을 했고, 그즈음 3개월 동안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기록에서 시작된 상상이다. 

이밖에도 놀부가 나누는 중년의 사랑 이야기가 극의 중심인 '흥부전'과 흥부전의 박 타는 대목으로 엮은 흥겨운 놀이판 '시르렁 실겅 당기여라 톱질이야' 등 읽을거리가 풍성하다. 

최기우 작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그저 그런 한마디에 귀 기울이며 조금씩 어른이 됐다"며 "글과 노동과 상상의 무게를 느끼며 부끄럽지 않은 글쓰기 노동자의 길을 한 걸음씩 밟아가겠다"고 말했다. 

2000년 전북일보 신춘문예(소설)로 등단한 최 작가는 연극과 창극, 뮤지컬, 창작판소리 등 무대극에 집중하며 100여편의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특히 전라북도 역사와 설화, 민중의 삶과 유희 등의 콘텐츠를 소재로 대중성과 역사성을 겸비한 이야기를 집필해왔다. 

이러한 활동을 증명하듯, 최 작가는 대한민국연극제, 전북연극제 희곡상과 불꽃문학상, 천인갈채상, 작가의눈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또 그동안 희곡집 '상봉'과 '춘향꽃이 피었습니다', '은행나무꽃', '달릉개'를 비롯해 어린이희곡 '뽕뽕뽕 방귀쟁이 뽕 함마니' 등을 출간했다. 

현재 최명희문학관 관장이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