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그동안 코로나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등으로 위축됐던 국제교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는 전언이다. 식량난과 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심화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전북이 국제적 연대와 협력을 통해 활로를 열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정부가 코로나의 진정에 따라 해외 입국자들의 방역 조치를 완화하고 외국인 대상 관광비자 발급을 재개하는 조치도 이런 국제교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는 판단이다.
  도는 이에 따라 유럽과 중앙아시아 등과 신규로 교류를 맺고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등 생태문명 산업 분야의 협력체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흔히 현대를 세방화시대라고 한다. 세계화와 지방화가 같이 진행된다는 뜻이다. 과거 외교는 중앙정부만의 몫이었지만 지금은 전 세계 지방 정부들이 나름 전략적 의도를 갖고 다른 나라 지방정부와 상호 협력과 네트워크 형성에 힘을 쏟는 양상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친선관계를 벗어나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전북은 그동안 국제교류 면에서 선도적인 위치에 서지 못한 게 사실이다. 현재 전북은 15개국 82개 도시와 자매 · 우호 등 교류 관계를 갖고 있는데 이는 이웃 전남이나 충남과 비교해 적은 숫자다. 전북에 비해 도세가 많이 뒤지는 강원도는 아예 28개국 143개 도시로 전북과 비교하기가 어려울 정도다.
  따라서 전북도가 국제교류 활성화에 일찌감치 시동을 거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라고 평가해도 좋을 것이다.
  다만 숙제가 있다. 바로 전문성 강화와 지속성 확보다. 
  먼저 지방정부들에는 외교 전문인력이 사실상 없다고 보아야 한다. 국제대사 등 제도가 있지만 실전에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해당 부서 공무원들 역시 외국어 능력 등 국제교류를 기획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량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일회성 이벤트로 그치는 것도 문제다. 자매결연 등을 통해 해외를 오가지만 실질적인 성과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단발성으로 사진찍기와 실적 올리기 정도에 그치는 현실이다.
  따라서 전북도의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인력 확보와 함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또 이를 뒷받침할 조례 제정 등 제도적 정비도 추진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상대 해외 지방정부를 선택할 경우에도 서로의 유사성과 상호보완성 그리고 지속성 등을 염두에 두고 신중을 기해야 한다. 새로 선출되는 지자체장이나 지방의원들은 이런 점을 새기고 국제교류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