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느 선거보다 혼탁하고 치열했던 8회 지방선거가 막을 내렸다. 더불어민주당과 무소속 간의 경쟁이 가열되면서 이번 선거는 여러 모로 생각하는 바가 많은 선거였다. 특히 선거 막판에 쏟아져나온 다소 황당하기까지 한 공약들은 유권자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언론이나 시민사회도 이에 대해 우려를 하는 모습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선거 공약은 그저 공약일 뿐인 경우가 많았다. 공약(公約)이 아니라 공약(空約)이라는 자조 섞인 말들이 많았다. 유권자의 시선을 끌고자하는 의도는 알겠으나 어려운 공약을 남발하고 뒷감당을 어떻게 할지 모두들 걱정스런 시선을 보냈다. 이번 선거에서도 그 같은 양상은 어김없이 나왔다.
  예컨대 도내 초중등 학생 전원에게 해외 연수나 여행을 보낸다든지 주민 한 사람당 수백만 원에서 천만 원씩의 코로나 지원금을 지급하겠다는 등의 공약이 있었다. 또 임기 내 지자체 예산을 배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공약도 눈에 띄었다. 허무맹랑하다는 반응에 대해 당사자들은 근거와 대책이 있다고 반박했다. 
  이제 선거가 끝났으니 당선자 공약이 관심사다. 지자체장이든 지방의원이든 대다수 당선자들은 파격적 공약을 앞세우고 선거운동을 했다. 유권자들도 이들의 공약을 눈여겨 보고 귀중한 한 표를 던졌다. 따라서 앞으로 당선자들의 공약이 어떻게 현실화 되는지 모두 관심을 갖고 지켜볼 터다.
  공약은 유권자와 후보자 사이의 약속이다. 후보자들 가운데 당선의 기쁨을 맛본 이들은 이제 책임이 무거운 공인의 위치에 섰다. 그러니 선거 과정에서 언급한 내용들은 그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책무가 된다. 
  물론 법적 구속력은 없다. 추진하다 안 되면 적당한 이유를 들어 바꾸면 그만이다. 하지만 정치적 구속력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주민들을 앞서서 이끄는 정치 엘리트가 바로 지자체장이고 지방의원이다. 이들이 실현 불가능한 황당한 공약으로 주민들을 속였다면 이만저만 큰일이 아니다. 
  지금부터 당선자들이 할 일은 분명하다. 자신들의 공약을 놓고 실현 가능성을 냉정한 시선으로 따져봐야 한다. 불가능한 일이면 사과해야 한다. 다행히 가능한 일이면 구체적인 예산과 추진 일정을 정해야 할 것이다. 또 필요한 기관 간의 협조나 제도 개선 등도 감안해 면밀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시민사회와 언론들도 과연 당선자들이 자신들이 내놓은 공약을 잘 이행하는지 임기 내내 감시하고 또 목소리를 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