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겸 정정화(50) 시인의 ‘알바니아 의자’가 세상 밖으로 나와 화제를 불러모으고 있다.

정 시인의 데뷔 28년 만의 첫 시집이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

정 시인은 ‘시와반시’로 1회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으며, 화가로서도 활약하고 있다.

‘그 길은 네 뒤에 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같은 제목으로 7차례 개인전을 열고 대한민국회화대전, 나혜석미술대전 등에서 수상한 중견 화가다.

그러면서 산문집 ‘‘나’라는 이유’ ‘고양이였다고 할 수는 없다’도 출간했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의 글은 뚜렷하고도 돋보이는 색채감으로 독자들을 먼 곳으로 안내한다.

시집 ‘알바니아 의자’에는 사물화된 시선으로 보는 세계가 자주 등장한다.

표제작 ‘알바니아 의자’에서 “배고픈 도마뱀은 주파수가 잡히지 않는 라디오 위에 올라가 긴 안테나를 올리고 있습니다/(…)/베개 커버를 뜯어내어 몰려오는 밤안개를 덮고도 우리 심장은 따뜻합니다”와 같이 생명력을 불어넣은 문장들이 시선을 끈다. “지붕이 없으니까 장미가 없으니까/가시는 두 귀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고양이였다고 할 수는 없다/말을 하고 말았으니/고양이였다고 할 수는 없다”(‘고양이였다고 할 수는 없다’)라는 표현에서처럼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면 주변 어딘가에 숨은 ‘비밀의 문’이 열리고, 그로 인해 독자는 시를 읽는 기쁨을 오롯이 느낀다. 무심코 지나치던 일상적인 풍경에서도 이질적이고 신비한 느낌을 받게 만드는 힘이 정정화의 시에 깃들어 있다.

정정화 시인이 가진 색채는 다양하다.

“내 몸은 헝겊처럼 해져 색칠을 해야 합니다 두 무릎을 동그랗게 오므리면/검고 두꺼운 점이 왼쪽 무릎에 출렁입니다”(‘콜링 유’)라고 노래하거나, “저녁은 점점 아랫배가 아픈 사람처럼 붉어져 오고/(…)/난 민트 빛 손톱을 지우지 못하고 자꾸 햇빛인 듯 덧칠을 합니다”(「민트 빛 손톱」) 같은 문장들은 시를 읽는 우리가 곧 그 몸이 된 것처럼, 아픔 속에서 꿈꾸는 환상의 세계를 감각하게 한다. “팔레트는 초록색이 점점 닳아져 갑니다 붉어지려면 지금이어야 할 듯합니다” (‘아침의 피아노’) 같은 문장, “손바닥은 매일 다른 색이 입혀져 있었으니까/염색공이라고 불러요/(…)//바다 건너 이 작은 냄비에 끓여지기까지/문장들은 얼마나 아름다운 시가 될 수 있을까요”(‘염색공’)에서 볼 수 있듯 정정화는 의지와 위로의 말들을 모두 색으로 표현해낸다. 그가 그려낸 색채들은 ‘늪’ 같은 시간들을 환기시키고, 있는 듯 없는 듯 희미하던 희망을 우리 눈앞에 가져다 놓는다.

문정희 시인은 추천사를 통해 “안이한 정서나 지적 포즈에 길들지 않은 염색공이 붓과 펜을 번갈아 집어 들고 간절한 호흡으로 은종을 울리고 있다”고 표현했다.

특히 “정정화의 몸속에는 화가와 시인이 함께 살고 있다. 정 시인의 시집은 ‘제 몸속의 화가가 제 몸속의 시인을 만나 눈물을 흘리며 내지르는 심미적 탄성’이다”며 웃음을 지었다./고민형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