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조은우기자
/그래픽=조은우기자

전북의 지방소멸위험지수가 위험단계에 진입하면서 자생적인 대응 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육·의료·문화 인프라가 수도권으로 밀집된 불균형 상황 등을 해소하지 않는다면 인구감소로 인한 도내 소멸위험도는 점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호남지방통계청이 26일 발표한 ‘호남권 지방소멸 변화상’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전북은 소멸위험지수는 0.46으로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소멸위험지수는 낮음(1.5이상), 보통(1.0~1.5미만), 소멸주의(0.5~1.0미만), 위험진입(0.2~0.5미만), 고위험(0.2미만) 총 5단계로 나눠져 있으며 내국인 상주인구 기준으로 만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상대적 비를 지수화해 적용한 것이다.

앞서 도내 소멸위험지수는 지난 2000년에는 1.32이었으나 2005년 0.95, 2010년 0.74, 2015년 0.63을 기록하면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또한 도내 소멸위험 시군 수는 2000년(4곳)보다 7곳이 증가한 11곳으로 집계됐다.

2000년에는 고위험 수준이 단 한 지역도 없었으며 지역 대부분이 소멸주의 수준이었으나 이제는 도내 지역 절반이 고위험 수준으로 위험수치가 치솟아 소멸위험도가 심화하고 있다. 시군별 지수를 단계별로 살펴보면 낮음과 보통은 없었고, 소멸주의(3단계)는 익산(0.51), 군산(0.52), 전주(0.81), 위험 진입(4단계)은 김제(0.21), 정읍(0.24), 남원(0.25), 완주(0.39) 등이었다. 고위험(5단계)은 진안(0.15), 고창·장수(0.16), 임실·순창·부안·무주(0.17)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황을 증명이라도 하듯 인구증감률이 지속해서 낮아지며 전북은 초고령사회에 돌입했다. 지난 2015년부터 2021년까지의 호남권 인구증감률은 전북 -0.54%, 광주 -0.42%, 전남 -0.29%로 전북이 가장 퇴보에 앞서 있었다. 또한 소멸위험 지역의 연평균 인구증감률에서도 전북은 -0.98%를 기록하며 인구절벽을 향하고 있는 현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호남지방통계청 관계자는 “생산인구가 줄고 고령자가 늘면 경제 활력도 자연스럽게 떨어지는 데다 지역소멸로 이어진다”면서 “전북지역의 절반이 이미 위험단계에 들어선 만큼 관련 대책 등 여러 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