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고령화율이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전북도의 고령화 속도는 전국 평균 수치보다 높으면서도, 도내 일부 군지역의 고령자 비율이 전국 시·군 상위 20위 내 포함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청년 유출과 고령자의 지역 내 고착 현상으로 인해 가속도가 붙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산업과 고용’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7~14%는 고령화 사회, 14~20%는 고령 사회, 그리고 20% 이상인 경우를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전북도의 고령화율은 22.4%로 전국 평균인 17.5%를 한층 높은 상태를 나타냈으며,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2015~2022년간의 고령화 속도는 0.706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0번째를 기록했다.

도내 인구 177만여 명 중 고령자 비율은 22.6%로 전국에서 3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국 250개 시·군·구 범위 내에서는 임실군과 진안군의 고령자 비율이 각각 38.1%와 37.5%의 높은 수치를 보여 ‘고령자 비율 상위 20개 기초지자체’에 포함되기도 했다.

또 전북지역 노년층의 지역 내 이동 비율은 전국 평균 37.6%에 반해 전북지역이 5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지방의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 규모 감소에 대한 총인구 감소와 함께 청년인구의 수도권 유출 심화가 계속 진행돼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고 안준기 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분석했다.

이외에도 이원도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센터장의 주거 이동성 지수 자료를 살펴보면 수도권 지역에 청년인구가 순유입, 이외 지방에서는 순유출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준기 부연구위원은 "지역 고령화는 지역소멸, 일자리 문제, 지역 양극화 문제 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고령화 속도를 낮추는 다양한 방법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현 상당수의 정책들이 실패하며 지금의 고령화 수준이 나타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업은 고령화로 인해 절대적인 근로 인력 부족과 구인·구직 미스매치의 문제 등으로 고령층 인력을 채용하거나 역외 이전 등의 방법으로 인구 밀집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면서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균형발전 등의 노력을 통해 지역 산업구조를 생산성 높은 구조로 재전환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