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있는 환자들은 어떡하라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서를 내는 건 정말 너무 한 것 같습니다."

시민 김모(45)씨는 전공의 현장 이탈 등 의료계의 집단행동 예고 소식에 이같이 분노했다.

김씨는 “의사들이 의대 정원 확대를 반대할 수는 있지만, 시민들의 생명과 연관된 일을 저버리는 것은 잘못된 것 아니냐. 의료 공백이 생기면 어쩌냐”라면서 “이제는 자신들의 ‘밥그릇 지키기’ 투쟁하는 것처럼 보이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반발하며 의사단체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시민단체 등 전북도민들의 비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지역 의료계의 주축인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사직서 제출을 밝히면서 필수 의료서비스 등이 끊기며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수도권 ‘빅5병원’(서울대·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전공의들은 오는 20일부터 집단 휴진할 예정이다. 도내는 원광대병원 전공의 126명이 집단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여전히 사직서는 수리되지 않았다.

이에 도민들은 의료계의 집단 움직임을 두고 부정적인 시선을 쏟아내고 있다. 

앞서 4년 전인 지난 2020년,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파업으로 인한 의료현장에 혼선이 빚어진 바가 있기 때문이다.

당시는 코로나19 유행 중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의사들의 집단휴진으로 응급환자가 치료받을 병원을 제때 찾지 못해 숨지기도 했다. 당시 정부는 수도권을 시작으로 전국 전공의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전공의들이 불응했고 정부는 10명을 고발했다가 나중에 취하했다.

 

이처럼 과거 한차례 파업으로 피해를 겪은 시민들에게는 달갑지 않다.

도내 군 의료원 간호사 박모(30)씨는 “의료인은 어떤 순간에도 의료현장을 떠나서는 안 된다”며 “의사 수가 적고, 의료현장에 떠나게 되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이어지고, 또다른 의료인들이 고생하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도내 의료계 등은 이를 두고 격앙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전북도 의사회 관계자는 “이 같은 응급상황에서 정부는 10년 후에나 배출될 의사 수를 늘린다는 황당한 처방을 내렸다”면서 “이는 필수 의료과의 사형선고나 다름없다. 의사 수를 늘린다고 필수의료와 지역의료의 불균형을 해소시킬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소아청소년과 유지 어려움으로 인해 피부, 성형 등 일반과 전환이 이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필수과가 줄어든 것"이라며 "이들에 대한 처우 개선이 먼저지 오로지 의사 수가 적다고 주장하는 것은 맞지않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06년 3,058명으로 조정된 이후 지금까지 동결돼 있던 의대 입학 정원을 2,000명 늘리기로 했다. 이는 ‘지역·필수 의료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위기감 해소가 골자다. 정부는 내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릴 경우 2031년부터 의사가 배출돼 2035년까지는 최대 1만 명의 의사 인력이 확충, 지역·필수 의료공백이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