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성 검토에 들어간 새만금 국제공항 건립사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여객 중심보다는 항공물류산업 관련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21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항공물류 기능 강화를 통한 새만금 국제공항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

국제공항 후발주자인 새만금 국제공항의 여객 중심 발전전략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항공물류 기능을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국토교통부의 새만금 국제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에서 새만금 국제공항은 2029년 개항을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 대한민국 15개 공항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벨기에 리에주 공항처럼 특송물류, 국경 간 전자상거래 Sea&Air 복합운송, 콜드체인 물류 등에 특화하여 관련 대기업을 유치하고 항공물류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경우, 새만금 국제공항의 항공물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코로나19로 세계적인 여행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백신과 의약품, 신선식품, 국경 간 전자상거래 제품 등의 항공화물 물동량이 증가한 사례로 인해 물류를 통한 공항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연구원의 주장이다.

인천공항의 경우, 항공물류단지 인프라와 주당 약 3만 4000회의 다양하고 빈번한 항공노선 보유로 지난해말 국내 전체 항공화물 물동량 약 395만 톤 중 약 360만 톤(90.1%)을 처리했다고 소개했다.

여기에 한중국제카페리와 인천공항을 연결하는 Sea&Air 복합운송 물동량은 대부분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화물로 현재 카페리항로 물동량 중 군산항에서 전체 30.8%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새만금 국제공항에 항공물류 기능이 강화된다면 서해 중부권 Sea&Air 거점공항으로 발전할 기회가 열려 있다는 것이 연구원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새만금 국제공항의 여객 중심 공항 발전전략 한계를 인식해 개항과 동시에 조기 활성화 준비와 후발주자로서 차별화된 항공물류 비즈니스 모델 발굴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전북특별자치도는 비수도권 지역 유일의 한중 해상특송화물 통관장이 설치돼 특송물류의 경쟁우위를 선점한 만큼, 새만금 글로벌 푸드허브 조성이 추진되어 콜드체인 물류거점으로 발돋움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나정호 책임연구위원은 “항공물류 기능 강화는 독창적인 특성화 물류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항공물류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항공물류 활성화 전략 추진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새만금 국제공항의 개항을 준비하는 지금부터 항공물류 기능 강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김용기자·km496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