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분야 온실가스 줄이기는 기후 위기를 둘러싼 절박한 이슈 가운데 하나다.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상당량 배출된다. 특히 메탄과 이산화 질소 등은 농업 분야에서 많이 나온다. 이런 와중에 배출량을 놓고도 설전이 벌어지고 있고, 규제 방안을 둘러싼 충돌도 갈수록 첨예화하는 양상이다. 또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식량을 다루는 문제이니만치 결코 단순할 수가 없다. 당사자인 농민들의 인식이나 대처도 다른 산업에 비해 더디게 나아가는 형편이어서 이래저래 난제 중 난제라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그렇다고 이를 소홀히 할 문제는 아니다. 장기적으로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되는 산업이 바로 농업이다. 폭염이나 태풍, 가뭄, 한파 등 이상기후는 곧바로 농업생산에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준다. 이미 아프리카나 아시아 지역 여러 곳에서 이로 인한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을뿐더러 해마다 피해 규모도 커지는 중이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농축수산업 분야에서 나오는 비중은 대략 30% 내외라고 한다. 만약 금세기 중반 지구 인구가 100억명에 달한다면 그 비중은 50%를 훌쩍 넘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농업 분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은 전체의 3% 정도다.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이어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상황을 깊이 들여다보면 결코 작은 문제가 아니다. 온실가스의 하나인 메탄의 경우 우리나라 배출량의 40%가 농업 분야에서 나온다. 또 벼 재배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없다. 흡수량이 그대로 대기 중으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 각국은 친환경 농법이나 퍼머컬처(Permaculture)’ 즉 영속 농업 등의 개념을 도입해 온실가스 줄이기에 진력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가 최근 농업 온실가스 규제에서 한발 물러섰다. 애초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농업 분야에서 메탄과 질소를 30% 줄이기로 했지만 최종 권고안에서 이를 제외했다. 농업은 유럽연합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이렇게 후퇴한 것은 1월부터 유럽 전역에서 벌어지는 농민 시위 때문이다. 농민들은 생계 보장이나 각종 환경 관련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결국 유럽연합은 이 같은 농민들의 반발에 백기를 들고 말았다.

농업 분야 온실가스 규제는 이렇게 어렵다. 열쇠는 새로운 농법 개발이라는 지적이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최신 농법들을 적용하면 지금의 40%를 줄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정부나 농민들이 이에 주목해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소비자들도 유제품이나 육류 소비 줄이기로 농업 분야 온실가스 줄이기에 힘을 보탤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