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지역 청년층의 이탈을 막기 위해 올해 2,7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85개 사업을 통해 청년들의 행복한 삶을 위한 행정 차원의 지원을 강화한다. 그동안 청년 지원 정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매년 평균 8,000여 명에 달하는 지역의 청년이 전북을 떠나는 현실이 개선되지 않으면 지역소멸을 막을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다. 

전북특자도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전북을 떠난 청년(20~39세)은 3만 3,319명으로 한 해 평균 8,329명이었다. 2020년 1만 168명, 2021년 7,909명, 2022년 8,127명, 2023년 7,115명으로 감소 폭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곤 있지만 이미 전북 전체 인구가 감소 추세로 돌아선 지 오래고 저출산·고령화 역시 급격히 진행 중이다.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전주시를 제외한 나머지 시군 모두가 소멸 대상 지역으로 분류된 가운데 진안군을 비롯한 7개 시·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에, 익산시 등 6개 시·군은 소멸 위험 단계 진입 지자체로 분류될 만큼 전북의 인구절벽 위기는 심각하다.

특히 지역 유출 청년인구 중 20~24세 인구가 전체의 절반을 넘고 있다. 직장으로 인한 거주이전이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지역 내 일자리 부족 등이 수도권 등으로의 유출을 가속화하고 있음을 확인시키고 있다. 저출산과 청년층 이탈로 인한 경제활동 인구감소는 기업이 떠나고 일자리까지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된다. 지역 청년을 붙잡아 둘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시급한 이유다. 

전북특자도가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위해 735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제공을 위한 인건비 104억 원을 지원하는 것을 비롯해 900명의 청년 직무 인턴 사업을 위해 46억 원의 실습비 책정, 청년임대주택 임대보증금 지원 등의 직간접 청년정책 강화 대책을 내놨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는 아니라 해도 지역에 머물며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하고 정착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청년인구 감소와 고령인구 증가는 지역 생산성을 약화하고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게 된다. 지속 가능한 지역 균형발전 가능성조차 멀어지게 하는 요인이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대안 제시에 더해 지자체 차원의 더 세심하고 지속적인 청년정책 발굴이 시급한 이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