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혁신도시에서 부동산업을 하고 있는 김모(62·여)씨는 최근 본인 소유의 상가로 인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출을 받아 매입한 상가는 그동안 임대수익의 효자였지만 6곳 중 절반인 3곳이 1년여째 비면서 이제는 애물단지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높아진 대출 이자 역시 김씨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김씨는 “1년째 빈 상가에 금리 상승과 대내외적 악재로 인한 물가 급등 등으로 결국, 임대료를 내렸음에도 임차인 구하기는 여전히 쉽지 않은 실정이다”며 “이제는 매달 이자 내는 것도 버겁다”고 토로했다.

최근 내수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전북지역 상가 공실률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 불황과 소셜커머스, 배달 애플리케이션, 중고물품 앱 등의 소비 형태 변화 등으로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가의 폐점이 늘면서 공실 증가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설 자리를 잃어가면서 지역 경제에 미칠 악영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3년 4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전북지역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9.3%로 강원(8.9%), 충북(8.5%), 충남(7.6%) 등보다 높은 전국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호남 철도의 관문, 익산역 앞 상가 밀집 지역은 한때 최대 상권을 자랑했지만, 곳곳에 세입자를 구한다는 빈 점포들이 넘쳐나고 있다.

법조타운이 들어선 전주 만성지구는 가장 최근 개발된 도심지임에도 불구하고 비어있는 상가가 많았다. 사거리 대로변에는 음식점 등을 비롯해 상가들이 가득차 있었지만 바로 안쪽에 있는 건물들은 절반 가량이 비어 있었다. 

이처럼 공실률이 높은 것은 건물은 계속 지어지고 있는 반면 소비심리 위축과 기준 금리 인상에 따른 자영업이 타격을 입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2021년까지만 해도 0.5% 수준이었던 기준금리는 2022년 4월 1.25%에서 1.5%로 올라 지난해 1월부터 3.50%로 올라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전북지역 소비자심리 또한 지난달 기준 99.5로 전달보다 1포인트 하락하며 기준값 100 이하인 비관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소비심리 위축으로 도내 소상공인들의 매출은 감소했으나, 기준금리 인상으로 상가 임대인들은 대출금리가 치솟으면서 임대료가 낮아지지 않자 높은 임대료와 낮은 수익률로 인해 세입자들은 폐업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공실률이 높다 보니 투자 수익률은 크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전북지역 임대가격지수(100) 기준, 지방 임대료지수를 살펴보면 제주 100.1, 강원 99.2 등 다른 지방보다 전북지역이 97.5로 가장 낮았다.

공실률이 증가하면서 투자수익률도 충북(1.20%), 경북(1.06%), 충남(0.93%), 강원(0.88%) 등 전북(0.73%)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낮았다.

노동식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중앙자문위원은 “전북지역 상가 공실은 증가했지만 임대료는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수요에 맞게 공급을 늘리는 체계적인 부동산 정책이 마련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