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산업 단지에 입주하는 2차전지 기업들의 공장가동이 본격화될 경우 발생하게 될 폐수오염물질의 완벽한 처리를 위해선 정부 차원의 더 적극적이고 강력한 시설개선 노력이 서둘러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공장이 가동될 경우 필연적으로 배출하게 될 오염물질 처리대책 미흡은 돌이킬 수 없는 해양생태계 파괴나 토양오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지는 만큼 지금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정부는 새만금산업 단지 내 폐수처리와 관련해 오는 2027년까지 공공폐수처리시설 용량을 4만3,000톤에서 6만3,000톤으로 증설키로 하고 후속대책을 준비 중이다. 현재 새만금 산단과 투자협약을 맺은 68개 기업 중 2차전지 관련 업체 17곳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배출할 폐수가 하루 3만5,000톤 정도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다. 또 오는 2025년까지 산업단지 인근에 18만㎡ 규모의 폐기물 매립·소각장을 신설, 하루 180톤을 처리할 계획도 발표했다.

하지만 문제는 양극재나 전해질 등 2차전지 소재를 만들 때 발생하는 폐수 처리 문제다. 이는 공용처리장에서 처리가 불가능할 정도의 고염도 폐수라 업체들이 자체 처리 기준에 맞춰 방류 하는 것으로 계획이 진행중이라고 한다. 배출 허용 기준등과 관련해 환경부의 별도 기준이 마련되겠지만 자칫 정제되지 않은 오염된 폐수가 군산항 부근이나 새만금인근에 방류될 가능성이 높단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전북자치도가 별도로 2차전지 폐수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실시키로 한 것도 새만금2차전지특화단지에서 배출되는 염 폐수에 대한 뚜렷한 처리방안이 나오지 않으면서 야기된 환경오염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란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은 작지 않다.

2차전지 폐수처리에 최적화된 공공폐수처리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새길필요가 있다. 용역에서 도출된 폐수관리방안을 토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관리해나가겠다는 도의 결정에 차질이 있어서도 안 된다. 2차전지 소재를 중심으로 한 10조 원 규모의 투자성과는 분명 반길 일이지만 눈에 보이는 성과에 도취해 미래 재앙의 씨앗이 될 수도 있는 오염물질 관리 소홀이란 우를 범해선 안 된다. 기업 친화적 적극 행정의 성과는 실적과 관리가 하나 될 때 제대로 된 평가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