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사과와 배 등 과일을 중심으로 먹거리 물가가 크게 오르자 높아진 가격으로 인해 가계의 실제 소비까지 줄어들면서 가계 운용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기간과 품목, 규모에 제한을 두지 않고 납품 단가와 할인 지원을 전폭적으로 시행한다고 했지만 가격은 지난해보다 여전히 비싸 물가가 잡힐지는 미지수다.

19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가 최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북자치도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9(2020년=100)로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2.9% 상승했다.

지난달 전북지역 과일 물가 상승률은 사과 72.5%, 귤 83.2%, 딸기 34.9%, 토마토 45.8% 등이 올랐다.

이날 오전 11시 전북 혁신도시 인근 대형마트의 사과 10개 가격은 2만 5000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2% 가까이 하락했지만, 참외는 10kg 한 상자에 8만2500으로 전년대비 40.7% 올라 당분간 강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참외의 경우 고령화 및 인력 부족으로 면적이 축소되고 타작물 전환, 작황 부진 등으로 인해 출하량이 전년대비 2% 감소했다. 4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1%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과일 가격이 상승하면서 외식비까지 멈출 줄 모르고 상승하고 있다.

같은 날 오후 1시경 전북 혁신도시 한 식당. 지난해 9000원이던 김치찌게가 이제는 1인분에 1만 1000원이었다. 식사 후 커피 한 잔, 두 명이 먹는 식사에 이제는 3만원은 있어야 한다.

인근 중화요리에서도 짬뽕 한 그릇에 8000원에서 9000원으로 올랐으며, 분식점에서도 라면과 김밥 등이 각각 1000원씩 올랐다.

과일값 상승이 식재료 등의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결국, 외식비까지 도미노로 올라 물가 상승에 대한 서민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문제는 몇일 남지 않는 선거에 물가가 상승하면서 정부는 물가 잡기에 위해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지만 대형마트와 백화점에서만 행사를 할 뿐 다른 곳에서는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서민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과실 물가 상승률이 40.6%, 전북지역 소비자 물가 상승률 2.9%의 14배 차이로 37.7% 상승했다. 과실 물가 통계가 잡히기 시작한 1985년 1월 이후 약 40여 년 만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8일 24종인 과일류 관세인하 품목에 체리, 키위를 비롯한 5종을 추가하고 필요하면 긴급 농축산물 가격 안정자금 1500억원을 가격 안정시까지 확대 집행안을 내놓은 바 있다.

아울러 해외 수입과일과 농산물, 가공식품에 대한 할당관세 대상 품목을 대폭 확대해 물량도 무제한 풀겠다는 방침이다.

도내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상기후와 작황 부진으로 햇과일 출하 시기인 7~8월 이전까지는 당분간 높은 가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병충해 때문에 수입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마련 및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