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장바구니 물가의 거침없는 상승세를 막기 위해 투입한 1500억 원의 긴급 자금이 실제 물가 안정에 도움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점검에 나섰다. 먹거리 주요 물품들의 소비자가격 하락을 위한 할인 지원 등의 이행 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불안 요인이 발생하면 즉각 대응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 같은 긴급조치로 농수산물 가격이 일단 안정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정보에 따르면 지난 3월 초 정부가 납품단가를 지원한 과채류 13종의 최근(18~20일) 평균 소비자가격은 2월 말 대비 14.4% 하락, 납품단가 지원 후 실제로 최종 소비자가격이 내려가고 있음이 수치상 확인됐다고 정부는 평가했다. 또 사과를 비롯해 치솟은 과일 가격을 낮추기 위해 직수입 품목을 기존 5개에서 11개로 늘린 데 이어 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바나나, 오렌지 등을 지금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집중적으로 공급할 계획도 세웠다. 4월 말까지 전통시장에서 이용 가능한 600억 원 규모 제로페이 농할상품권도 발행,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할인 지원도 확대키로 하는 등 전방위적인 장바구니 물가 안정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작황 부진과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농산물생산량 감소가 가져온 심각한 농산물 가격 불안정은 역대급 민심이반을 불러올 수 있을 만큼 서민 가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자연재해에 기인한 불가피한 상황이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건 사실이지만 치솟는 물가에 제때 대응하지 못하고 고삐 풀린 물가를 통제하지 못한 정부의 정책 실패에 무엇보다 큰 책임이 있다는 것이 민심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장바구니 물가는 아직도 여전한 대내외적 물가 불안 요소들로 인해 언제 어떻게 또 출렁일지 모른다. 지금의 먹거리 불안 요소를 해소하고 서민경제를 안정시키는 노력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더욱 심각한 위기국면을 초래할 수밖에 없어 여간 걱정이 아니다. 막대한 정부 예산 투입하고 세제지원 통해 물가 잡기에 나선 대통령이 현장 방문한다고 하자 ‘대파 한 단 850원’ 상품을 진열해 ‘물정 모르는 대통령’으로 만들어 버릴 정도로 곳곳에 구멍이 뚫려있어 더욱 그렇다. 철저히 점검하고 더없이 감시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이 체감 못 하는 물가대책에 헛돈만 쓰고 있다는 비난이 나오지 않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