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10일 실시되는 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는 도내 10개 선거구의 후보 등록이 완료돼 민심의 선택이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10명씩, 새로운 미래 3명, 진보당 2명, 자유통일당 2명, 녹색정의당 1명, 자유민주당 1명, 한국농어민당 1명과 무소속 3명 등 모두 33명이다.

평균 경쟁률이 3.3대 1로 지난 21대 총선 44명보다 11명이 줄었다.

 그나마 여당 후보들이 16년 만에 10개 선거구 모두에 등록, 도민들의 선택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졌다.

 그러나 경쟁의 모양새를 보이는 선거전이지만 지역 정치 정서상 속내는 출발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전북은 30여 년 전부터 이슈 등 아무런 변수 없이도 특정 정당과 진영이 표 대부분을 가져가는 별난 정치 정서를 갖고있다.

원인을 찾자면 과거 군사 정권 시절의 차별화된 지역개발과 1987년 민주화 이후 지역정당 구도로 분할됐던 정치구조가 1990년 경상도와 충청도가 연합한 거대 보수정당이 탄생하면서 낳은 전라도 고립화가 그 결과로 볼 수 있다.

각종 선거에서 지역주의를 내세운 특정 진영 세력들이 선거 우위를 차지하면서 그들만의 리그에서 그  나물의 그 밥 후보가 선출되고 도민들의 선택권은 없어졌다.

지역개발 등 먹고사는 문제보다 정권퇴진등 정치싸움이 우선이고 계파 수장에게 줄서기나 눈치보기가 만연한 민주당 독주체계에 변화가 필요하다. 

선거의 3개 조건은 정당(구도), 이슈(바람), 인물이라고 한다. 전북은 정당밖에 보이지 않는다.

일부 도내 민주당 공천자들이 공식 후보 등록 전부터 압승을 운운했다고 한다. 정당 공천에서 비롯된 오만한 행태로 그 폐해는 오롯이 도민들에게 돌아오고 있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과 새누리당 후보가, 21대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돼 전북에서도 변화의 가능성은 있다. 실천하는 일꾼을 찾아야 한다.

 전북의 22대 총선에서 ‘메기효과(Catfish Effect)’를 기다려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