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60대 이상 고령 취업자 수가 청년 취업자보다 많아지는 ‘취업역전’ 현상이 나타나 혁신적인 청년세대 취업 대책이 필요하다.

 통계청이 분석한 지난해 도내 60세 이상 고용인원이 30만 5천여 명으로 2022년에 비해 1만 4천여 명이 늘어났으며 10년 전인 2014년 18만 1천여 명보다는 2배 가까이 늘었다.

청년인구(15∼29세)의 취업은 지난해 10만 7천여 명으로 고령 취업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해마다 감소세를 나타내는 등 반갑지 않은 고용 행태를 보이고 있어 걱정이다.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는 은퇴 이후에도 일할 수밖에 없는 부족한 경제 여건이 주원인이지만 청년 취업자 감소로 인한 청년인구 유출은 지역소멸 등 사회불안 현상으로까지 확대될 우려가 높다.

최근 전북대 취업 진로처가 학생 6천875명을 대상으로 희망 근무지역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2.5%가 서울을 원했고 28.6%는 전북에 남길 희망해 청년들의 지역탈출 열기가 그리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과 농업생명과학대 등 다른 분야는 도내에 정착하기를 더 원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은 청년들이 기대하는 임금수준과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있다면 청년인구의 유출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고용노동부 등이 72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지역별 주력 기업과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지역체감형 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한다. 큰 성과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와함께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기본소득, 노동자 지원사업 등 실험적인 청년지원금제를 참고삼아 도내 지역문화와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혁신적이고 파격적인 일자리 창출 정책도 마련해 볼 것을 주문하고 싶다. 

 주민등록상 전북도민들의 평균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 47.4세로 전국 평균 44.8세보다 많고 2008년보다는 무려 8.3세가 많아 도내인구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지역소멸을 막고 청년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대책에 시간이 없다. 기업 유치를 최대 공약으로 내세운 김관영 지사의 분발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