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지역 내에 집적화된 정부 출연기관과 연구 분원을 활용해 생산기능과 연구기능을 결합한 차별화된 수요자형 R&D특구 지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10일 도에 따르면 정부는 전북을 비롯해 광주와 대구에서 지속적으로 요구에 따라 R&D특구 추가지정 여부를 가리기 위한 타당성연구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는 것.
특구지정을 위해서는 현행 대덕연구개발특구법의 지정요건에 따라 국가출연연구기관 3개 이상, 연구기관 40개 이상, 이공계 대학 3개 이상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도는 이에 따라 전북과학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완주 봉동읍과 익산 왕궁면, 전주 팔복동, 혁신도시 지역 일원 등 대상지역을 R&D특구로 지정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지역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등 총 8개의 정부출연(연) 분원 및 센터가 집적화돼 있으며 전북대와 전주대, 우석대, 전주비전대 등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또 전북과학연구단지와 전주첨단·산업단지, 완주테크노벨리, 국가식품클러스터 등 2749만6000㎡의 산업단지 부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전주권의 장점을 한층 살려 탄소복합소재 및 인쇄전자(Carbon Valley), 바이오소재(식품클러스터)기술을 융·복합화한 친환경부품소재 연구개발 특구로 특화하겠다는 게 도의 전략이다.
도는 이를 위해 정부를 대상으로 타 지역 보다 유일한 특구지정요건을 알리고 정부의 연구용역에 대비, 전북만의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전문가, 관련 시·군, 대학 등이 구성된 ‘R&D특구 추진기획단’을 구성하고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금환 전략산업국장은 “전북ㄷ은 정부출연(연)의 연구기능과 지역의 산업기능을 연계한 신 성장모델 구축지역”이라며 “이러한 전북의 연구역량을 활용한 지역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대덕연구단지에 준하는 특구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김완주 지사는 지난 1월에 열린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대덕R&D 특구에 이어 타 지역에서도 특구 추가지정을 추진하고 있어 자칫 전북이 샌드위치 신세에 놓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특구지정을 위한 추진계획 수립을 지시한 바 있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