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전략의 일환으로 ‘농식품산업특구’ 개발에 나서기로 해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들러리로 전락될 위기에 처해졌다. <관련기사 3면>
이는 농식품산업특구를 간척지에 시범 조성할 계획인 가운데 새만금의 경우 더딘 개발에 따라 조성 후보지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가식품클러스터 역시 첫 삽도 뜨지 못한 상황에서 농식품산업특구가 속도감 있게 개발될 공산이 커 식품산업의 선점효과를 타 지역에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농림수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8일 이명박 대통령의 주재로 제65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갖고 관련 부처와 합동으로 마련한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확정했다.
주요 골자는 오는 2012년까지 농어업인과 중소기업인이 공동출자하는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300개를 육성하고 직·간접 일자리 5000여개를 창출하겠다는 것.
정부는 이를 위해 최대 5000억원 규모의 농식품 모태펀드 조성 등 정책금융 지원규모 확대와 농식품산업특구 개발, 1000억원을 들여 400개의 R&D(연구개발)과제 추진, 창업지원제도 확충 및 식품관련 규제 완화, 지원단 구성 및 관련 법령 제·개정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 가운데 농식품산업특구는 인프라조성과 자금지원, 조세특례, 교육 및 인력 등 맞춤형 연계지원을 통해 첨단 농어업시설과 가공·유통·물류·연구단지가 집적되도록 조성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특구를 간척지부터 시범 조성한 뒤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어서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 전북의 식품산업의 입지가 좁혀질 가능성이 높다. 새만금은 방조제 공사만 완료하고 산업단지 일부만이 조성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정부의 계획에 맞춰 농식품산업특구로 개발하기에는 시기적으로 매우 촉박해 후순위로 밀려날 위기에 있다. 또 간척지에 대한 시범적인 개발 후에 다른 지역까지 확대하는 만큼 국가식품클러스터 역시 차기를 기약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될 형국이다.
나아가 식품시장이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평가되는 등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다른 지자체들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으로 농식품산업특구 개발에 대응할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준일기자·ghksrh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