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錦江) 하굿둑의 해수유통 문제가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부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로드맵을 발표하며 이슈를 끌고나가자 시민사회도 적극적인 행동에 돌입하는 등 하굿둑 개방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금강 하굿둑의 개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하류의 기수 생태계 복원을 위한 낙동강 하굿둑 개방 로드맵’을 제시하며 2017년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해 2025년까지 하굿둑을 완전히 개방할 계획을 발표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은 서병수 시장의 핵심공약사업으로 이날 부산시가 낙동강하굿둑 개방을 추진하자 낙동강 물을 공동 이용하고 있는 울산시가 즉각 반발하고 나서면서 지역간 정치적 갈등이 예고된 상황이다.

부산과 울산의 갈등은 수년 전부터 마찰을 빚고 있는 전북과 충남과 모든 면에서 사례가 유사하다. 하굿둑 개방시 용수공급 차질과 염분 농도 상승, 광활한 면적의 침수피해 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충남은 안희정 도지사 공약으로 금강하굿둑 역간척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반대 입장을 거듭 천명한 상태이고, 국토부와 농림부 등도 반대하고 있다.

금강호 해수유통시 도내 농지 4만3000ha에 대한 농업 용수(3억5400만톤) 공급 차질은 물론 1억2100만톤에 달하는 공업용수 확보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취수장을 상류로 이전할 경우 지난 2013년까지 6949억원의 천문학적인 예산이 이미 투입된 상황에서 양수장과 용수로가 무용지물로 전락하게 되며 영농 보상 문제 등 부작용 발생에 따른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국토교통부가 지난 2012년 용역결과, 해수유통에 따른 염분확산으로 대체 농업용수 공급시설 이전이 불가능한 가운데 최소 7128억원에서 최대 2조9512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혈세가 추가로 투입돼야 한다.

하지만 충남도에 이어 부산시까지 하굿둑 개방 논란에 가세하면서 환경단체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는데 다, 정치적 이슈로 부각될 경우 정부의 입장변화도 배제할 수 없어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전북도 차원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