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의 두 번째 비핵화 협상이 소득 없이 끝나면서 기대를 모았던 남북관계 개선에도 제동이 걸렸다.

무엇보다 하노이 회담 이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됐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는 예측할 수 없게 됐다. 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 서울 답방 의지를 강조하는 한편, 2차 북미회담 결과에 긍정적 성과가 예상되면서 김 위원장의 답방은 빠르면 3~4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28일 북미 간 회담이 결렬되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초 정부는 북미회담 후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이를 계기로 남북교류 논의를 집중적으로 해나갈 구상이었지만, 대북제재 완화가 선행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 어떤 것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북미회담을 통해 한껏 고조된 남북 경제협력 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무산됐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보상으로 제재 완화가 이뤄지면, 남북경협 사업 중 우선적으로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가동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컸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북미회담을 앞둔 19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남북 간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 사업까지 미국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밝히면서 그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하노이 회담의 결렬 이유로 “제재 완화가 쟁점이었다”고 직접 언급함에 따라 남북경협 사업은 또다시 제자리걸음을 걸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