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의료취약계층이 제대로 된 의료 혜택을 못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대신 진료를 하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수가 전국 상위권인 것으로 파악되면서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은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의사가 없는 곳에서 간호사·조산사가 진료행위를 하는 제도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수는 237명으로 집계됐다.

전북지역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수는 2017년 231명(12.4%), 2018년 236명(12.7%), 2019년 238명(12.7%), 2020년 232명(12.5%), 2021년 237명(12.8%)로 꾸준했다.

지난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313명(1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 294명(15.9%), 충남 234명(12.7%), 경남 211명(11.4%), 제주 47명(2.5%), 인천 24명(1.3%), 울산 11명(0.6%), 광주 9명(0.5%), 대구 8명(0.4%), 세종 6명(0.3%), 부산 4명(0.2%), 서울 0명(0%)으로 지방과 수도권·대도시 간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의 의과대학은 수도권에 집중돼있어 의사인력 양성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크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국내 의과대학 정원 총 40개교 3058명(2022학년도 기준)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8개교·82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 4개교·343명, 대구 4개교·302명, 강원 4개교·267명, 광주 2개교·250명, 전주 2개교·235명, 충남 3개교·182명, 대전 2개교·150명, 경기 3개교·120명, 인천·충북이 각각 2개교·89명, 경남 1개교·76명, 경북 1개교·49명, 제주·울산 각 1개교·40명 순이었다.

전남은 한 곳도 없었으며, 전체 정원 가운데 946명(30.9%)이 서울·경기지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김원이 의원은 “의료취약지 주민의 건강을 위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지역 내 의사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김수현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