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들썩이는 물가에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소비재 가격의 잇따른 인상에 에너지 관련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요금 인상을 기정사실로 하면서다. 여기에 미국발 고금리 역시 올해 들어서도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물가인상 도미노에 고금리, 상고하저가 예상된 고환율의 지속까지 예상되면서 가중되는 ‘3고 충격’의 시름 속에 우울한 한 해를 시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정부도 이미 걱정스러운 올해 경제전망을 한 터다. 올 초 소비자물가 5% 내외의 상승률을 예상한 한국은행은 유가 불안정, 심상치 않은 중국의 코로나 19 확산세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기 위해 긴축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밝혔다. 길어지는 고금리는 결국 기업은 물론 소비자 부담까지 가중하면서 내년 1%대 저성장이 예고될 정도다.

당장 식료품과 공산품 가격이 올랐다. 콜라를 비롯해 만두, 당면, 빙과류부터 각종 세제, 유명신발·의류 브렌드 등이 최대 20%까지 소비자 가격을 대폭 올렸다. 일반인들이 먹고, 바르고, 입고, 신는 모든 제품이 줄지어 가격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여기에 이달부터 공공요금발 요금 인상이 시작됐다. 전기요금이 사상 최대폭이라 할 만큼인 9.5%나 오른다. 지난해 1년 동안 오른 1킬로와트시(kWh)당 19.3원에 버금가는 13.1원을 더 내야 하는 것으로 월평균 전력사용량이 307kWh 정도인 4인 가족 기준 매달 4022원의 인상요인일 생길 것으로 추계 된다. 겨울철 난방 부담을 고려해 올 1분기 동결된 가스 요금 역시 2분기 인상을 예고한 상태다. 서울시가 내년 4월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을 인상키로 방침을 정하면서 전국지자체의 대중교통 요금까지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우선 전기요금인상에 따른 기업과 농가, 취약계층에 대한 요금할인, 효율 향상사업지원 확대 방침을 내놨지만, 공공요금발 인상 충격은 이미 현실이 됐다. 더 졸라맬 허리띠 구멍도 없는 서민 가계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해 졌다. 민생과 직결된 모든 분야의 예외 없는 가격 인상이 제조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으로까지 확산할 수밖에 없음은 더 큰 걱정이다. 모든 인상요인을 국민에게 전가하는 손쉬운 정책은 결국 서민들의 일상을 위기로 몰고 가는 나쁜 정책이다. 좀 더 많이 고민하고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물가인상의 불가피성만을 강조할 때가 아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