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소비 둔화가 지역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으면서 지역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자, 세금 등을 제외하고 소비나 저축이 가능한 소득)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처분소득이 감소하게 되면 개인들의 대출을 비롯해 신용카드 사용액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개인 채무 불이행과 신용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궁극적으로 금융 시장의 안정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3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금액 기준 가구순자산은 3억9018만원으로 2022년 4억2334만원 대비 3316만원(7.8%)이 감소했다. 실질금액은 명목금액에 소비자물가지수를 적용해 실질화한 금액이다.

이번 자산액 감소는 실물자산 가운데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거주주택(-10.0%)의 가치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가계부채의 경우 2008년 138.5%에서 2022년 203.7%까지 치솟았다. 지난해 12월 전북 예금은행 여신 증가폭이 확대된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여신 감소폭은 축소됐다.

즉, 여신이 증가하다 보니 공교롭게 이자가 올라 지출은 더 많아진데다 글로벌적으로 전쟁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물가 상승을 끌어올렸다.

때문에 민간소비 회복 속도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는 훨씬 둔화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문제는 이같은 가계대출 증가로 인해 소비가 둔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은 쪼그라들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가처분 소득의 감소는 저소득층에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으며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적 불안감과 경제적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지난해 12월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가계부채는 경기부진에 따른 가계의 소득 감소로 지난해 9월말 26조 7000억원으로 1인당 7400만원으로 전국 평균 9300만원에 비해 낮았다.

게다가 전북지역 차주 중 중·저소득 및 중·저신용 차주의 대출 비중은 각각 43.7%, 28.0%(2023년 2분기 기준)로 전국 및 7개도 평균보다 높았다.

또 저축이 감소하고 투자도 줄어들게 되며 개인의 재정적 안정성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의 장기적 성장과 안정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소비 촉진 활성화와 가처분 소득 증대를 위해서는 저축을 통한 소비자들의 재정 안정성 구축과 미래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도내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 소득 대비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이 씀씀이를 줄이고 있다”며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촉진 등 근로자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을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