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유역 제3단계 수질개선대책 중 단기계획이 종료됨에 따라 해수유통 유지 및 확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새만금 해수유통을 확대할 경우, 새만금호의 관리수위 변경을 위한 안전성 검토 등으로 최근 내부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새만금 개발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6일 전북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환경부 등은 새만금유역 제3단계(2021년~2030년) 수질개선대책 연차별 세부실행계획 중 지난해 끝난 단기대책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해 목표달성여부, 대책 성과 등을 종합평가해 목표수질 조정 검토 및 추가대책 발굴할 계획이다.

실제 지난 2020년 12월 새만금위원회는 해수유통을 1일 1회에서 1일 2회로의 확대를 결정한 바 있다.

해수유통은 새만금 방조제 안쪽의 새만금호를 바닷물로 채워 해역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이며, 그간 환경단체 등은 이를 확대해 새만금호의 염분성층 현상 등을 해소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염분성층은 간척지 호수 등과 같이 해수가 유입되는 곳에서 나타나며, 지속될 경우에는 수질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후 1일 1회 해수유통 기간(2014년~2020년)과 1일 2회 해수유통 기간(2021년~2023년)의 농업 및 도시용지 4개 대표지점 수질을 측정한 결과, 농업용지 중 만경강 수역의 물속에 포함된 전체탄소량을 의미하는 총유기탄소(TOC)가 5.1(mg/L)에서 4.4(mg/L)로 13.7% 감소했고, 총인(T-P)은 0.094(mg/L)에서 0.087(mg/L)로 7.5% 감소했다.

또 동진강 수역은 TOC 38.8%, T-P 13.3%로 감소했다.

도시용지 중 만경강 수역은 TOC가 25%, T-P 18.6%, 동진강 수역은 TOC가 32.5%, T-P는 20.9%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환경단체 등에서는 새만금호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해수유통을 확대하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전북자치도 등 새만금의 개발 추진하는 입장에서는 해수유통 확대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환경단체 등의 주장처럼 새만금 해수유통을 확대할 경우, 새만금 관리수위 등을 조정이 불가피함에 따라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새만금의 내부개발이 기본계획 수정 등으로 또다시 전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등은 해수유통 확대가 아닌 현행 관리수위를 유지하면서 해수 순환을 고려한 배수갑문 교호운전 등 최적의 해수유통 방안을 마련 중이며,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추가 수질대책을 마련해 새만금유역 제3단계 수질개선 중·장기대책 추가반영을 추진 중에 있다.

도 관계자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등 최근 새만금 내부개발이 가속하는 시점에 해수유통을 확대할 경우, 천문학적인 추가 매립비용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의 새만금호 관리수위를 유지하면서도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용기자·km496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