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환자를 중환자실로 보내요···. 자칫 사고라도 날까봐 걱정이 앞섭니다.”

정부가 전공의 부재로 인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진료보조(PA) 간호사들의 업무 범위를 확대하는 등 대안 마련에 나섰지만 효과를 거둘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수련병원에서는 이미 확대 전부터 의사 업무를 도맡고 있는 상황이고, 무엇보다 PA간호사가 의료사고를 낼 경우 법적 책임 공방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 8일부터 간호사들도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CPR)을 하고 응급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시행한다.

정부는 간호사를 숙련도와 자격에 따라 '전문간호사·전담간호사·일반간호사'로 구분해 감별, 검사, 치료·처치 등 총 10개 분야 98개 진료지원 행위와 관련한 업무범위를 설정한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보완 지침'을 일선 의료기관에 배포했다.

다만 일선 병원에서는 업무 범위 확대에 대한 내용을 협의해야 하기 때문에 일선 의료현장에서 적용되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직 도내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당초 간호사들은 이전에도 의사 업무를 대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간호사들도 강제로 응급 오프(무급휴가 권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전문의·교수가 남아 있는 외래와 진료보조(PA) 간호사의 경우 업무가 과중되는 상황이다.

익명을 요청한 도내 수련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A씨는 “평소보다 더 많이 환자분들을 중환자실로 보내면서도 계속해서 의사일을 대신하고 있다”면서 “저희(중환자실)쪽은 정신도 없다. 환자가 적게 남아있는 병동들을 합쳐 한 병동을 닫게하고 해당 병동 간호사들에게 응급오프(연차)를 받는다고 하더라” 했다.

이어 ”이 상황에서 전공의 파업으로 간호사 업무를 확대하는 것은 부담이 커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간호사 B씨는 “뉴스를 보니 빅5병원이나 종합병원 등에서 간호사들에게 무급 휴직을 주는 것을 들었다”면서 “점차 병동 환자 수가 감소하면서 인건비 이슈로 병원이 무급 휴직 등까지 고려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 같다. 우리 병원도 환자 수가 적어 조만간 고려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특히 정부가 간호사 관리 감독 미비로 발생한 의료사고에 대해서 의료기관장에게 책임을 넘긴다는 방침을 내놓았지만 이에 대해서도 비판이 일었다.

도내 수련병원 간호사 C씨는 "의료인의 업무범위, 면허 등을 규정하는 것은 정부가 해야할 사항이지 병원장에 넘길 사안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가 면허 정지 사전통지서를 본격적으로 발송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의 경우 전북대학교병원 전공의 206명의 대부분이 병원에 복귀하지 않은 상태다.

원광대학교병원도 전공의 126명 중 90여명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출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도내 의료파업 관련 경찰 신고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